올해 5000명 이상의 호주인들이 코로나19 관련 사기 사건의 표적이 된 것으로 밝혀졌다.
범죄자들은 주로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기간 동안 생겨난 사람들의 공포를 이용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하고 격리가 필요한 근접 접촉자를 찾아내는 QR코드 스캔 기술의 위험성을 지적한다. 즉, 디지털 데이터가 어디에 넘겨지는지 알지 못하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
NSW 대학 사이버안보 전문가 케이트 캐러써 박사는 상업용 또는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QR 앱의 경우 수집된 데이터를 잘못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가 적다고 설명했다.
캐러써 박사는 “모든 회사는 속한 지역 관할권의 개인 정보법에 적용을 받지만 문제는 많은 회사들이 해당 지역에 소속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점으로, 실제로는 어떤 지역에 등재된 업체인지 알 수 없다”라고 지적했다.
그렇기에 캐러씨 박사는 “각 업체가 수집된 데이터로 무엇이든 할 수 있고, 업체는 세계 어느 곳에서든 등록될 수 있고, 고객은 그 업체가 누구인지, 무엇을 하는 곳인지 제대로 알 수 없다”라고 말했다.
호주 정부의 관련 규제 기관인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 측은 범죄자들이 주로 문자 메시지나 고안된 악성 링크를 사용하는 기술 등을 이용해 개인 정보와 금융 정보를 훔쳐 부를 축척하고 있으며 이때 정부 기관을 사칭하고 있다고 알렸다.
올해만 해도 이미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해 5천 건 이상의 사기 사건이 접수됐고, 이는 628만 달러 규모로 파악됐다.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의 델리아 리처드 위원장 대행은 코로나19 관련된 사기 사건들은 대부분 재정 지원을 제안하거나 사기성 연락처 추적 전화를 기반으로 한다고 말했다. 리처드 위원장 대행은 “사기범들은 주로 정부 관리를 사칭해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겠다고 하거나, 코로나19에 영향을 받은 지역을 방문했으니 조사를 해야 한다며 모든 종류의 개인 정보를 물어본다”라고 설명했다.
“범죄자들이 정부 기관을 사칭하는 것에 절대적인 전문가”라고 지적하며 “이런 문자 메시지를 받거나 전화를 받으면 바로 회신하거나 통화를 이어가지 말고 끊은 뒤 직접 관련 기관에 연락해 문의하라”라고 리처드 위원장 대행은 조언했다.
더불어 리처드 위원장 대행은 정부 기관이 접촉자 추적을 위해 연락할 경우 모든 개인 정보를 묻는 경우도 없고, 특히 신용카드 번호나 은행 계좌 번호를 묻는 일은 절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 측은 올해 총 28건의 사기 사건이 QR코드 사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고 총 10만 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고 확인했다.
상업용 QR코드와 관련된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퀸즐랜드를 제외한 호주 전역의 각 주와 테리토리는 정부가 제공하는 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NSW 주의 경우 오는 1월 1일부터 모든 사업장은 NSW 주 정부가 제공하는 NSW 서비스 앱을 통해 방문객들의 기록을 남겨야 한다.
한편,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의 델리아 리처드 위원장 대행은 사기 범죄자들이 노리는 다음 타깃은 백신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리처드 위원장 대행은 “2021년에는 다양한 사기 사건을 보게 될 것”이라며 “백신 비용을 내라고 하든지, 백신을 싼 가격으로 더 빨리 맞을 수 있다고 하든지 등이 될 것으로, 모두가 다 사기”라고 밝혔다.
백신에 대해서는 정부가 공식적으로 배포할 것이니 인터넷에서 다른 방법을 간구하지 말 것이 권고됐다.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 측은 또한 계속해서 온라인 쇼핑 사기 사건도 일어나고 있다고 알렸다.
호주에서는 다른 사람과 적어도 1.5미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사는 주와 테러토리의 조치와 모임 인원 규정을 확인하세요. 감기나 독감 등의 증상이 있다면 집에 머물거나 의사 혹은 ‘코로나바이러스 건강 정보’ 핫라인 1800 020 080으로 연락해 검사를 받으세요. 63개 언어로 제공되는 뉴스와 정보를 얻으려면 을 방문하세요.
새로워진 SBS 라디오앱 을 지금 다운로드하세요. SBS 라디오 앱으로 한국어 프로그램을 청취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