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중국 갈등 '점입가경'...석탄으로 튄 중국 무역 보복조치

Australian coal is blacklisted by China

According to the Chinese state run media, Australian coal is blacklisted by China. Source: Flick / Beyond Coal & Gas Image - Attribution 2.0 Generic (CC BY 2.0)

중국이 호주 산 석탄 수입을 "사실상 금지했다"는 중국 관영 매체의 보도에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호주정부가 어떤 대안을 제시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코로나19 책임론에서 촉발된 호주와 중국의 갈등이 쇠고기, 보리, 와인 등에 이어 석탄으로 확대되는 등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중국이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했다는 중국 관영매체의 보도에 관해 "사실이라면 세계무역기구(WTO) 와 자유무역협정(FTA) 규정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모리슨 총리는 다만 중국 정부가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해 '추측성 보도'로 간주하고 있다며 애써 사태를 진정시키려 노력했다.

매리스 패인 외무장관은 그러나 이번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호주 수출 산업계와 중국 관련 단체와 긴밀히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패인 장관은 "양국은 오래 기간 매우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해왔고 과거에도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을 당시 늘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회가 있었으며 중국 정부 대표와 협의할 수 있는 기회가 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사이먼 버밍엄 통상투자관광부 장관은 "중국 관연 매체의 기사가 사실이라면 이 조치는 차별적인 무역 관행일 수 있는 만큼 중국 정부에 철회를 요청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호주정부는 강온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앞서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3일 중국의 경제 발전 계획을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석탄 가격 안정을 위해 모든 발전소에 호주산을 제외하면 석탄을 제한 없이 수입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호주산 석탄 수입을 사실상 금지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호주 산 석탄은 중국 수출품 중 철광석, 천연가스에 이은 세 번째 효자 품목이다.

한편 이런 상황 속에 뉴질랜드의 나나야 마후타 외교장관이 중재를 자처하고 나섰다.

마후타 외교장관은 내년에 예정된 APEC 정상회담에서 호주와 중국의 정상을 초청해 현안논의를 중재하겠다고 밝혔다.

[["Do I believe that there might be an opportunity to create a different enviornment, to have a conversation? Yes, I do. I think hosting APEC might well be an opportunity , but both parites would have to be willing to come together and concede in some areas where they are currently not seeing eye to eye."]]

마후타 외교장관은 "분명 국면전환을 위한 대화의 기회가 있을 것으로 믿으며 APEC 정상회담이 가장 적절한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서로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지 못하는 상태에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면이 분명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새로워진 SBS 라디오앱 지금 다운로드하세요. SBS 라디오 앱으로 한국어 프로그램을 청취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