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 국민투표 ‘부결’…정치권 후속 대책은?

dutton albanese.jpg

앤소니 알바니지 연방총리와 피터 더튼 야당당수

원주민 헌법기구 보이스 국민투표가 압도적으로 부결되면서 정치권도 후속 대책에 골몰하는 분위기다.


Key Points
  • 알바니지 연방총리 “자유당 연립의 반대로 역사적 전화점 실기”
  • 더튼 당수 “단합이 아닌 분열을 촉발시킨 불필요한 국민투표”
  • 정치권 일각, 당면 원주민 격차 및 화합 대책 마련 촉구
14일 저녁 국민투표가 부결로 확정된 직후 앤소니 알바니지 연방총리와 피터 더튼 자유당 당수는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비방전을 이어갔다.

알바니지 연방총리는 국민투표 부결의 직접적 원인은 야당인 자유당 연립의 반대를 손꼽았다.

앤소니 알바니지 연방총리는 “구체적인 분석 작업이 진행되겠지만 역사적으로 초당적 지지가 없는 상태에서 국민투표가 통과된 적이 없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반대입장을 고수했던 야당 측을 지목했다.

반면 피터 더튼 자유당 당수도 국민적 단합을 호소하는 한편 "이번 국민투표는 불필요한 국가적 낭비였다"고 일갈하며 "보이스 설립 발상이나 그 과정은 국민적 단합이 아닌 분열만 촉발시킨 불필요한 국민투표였다"고 질타했다.

자유당의 수잔 리 부당수 역시 “모두의 시간 낭비였고, 국고 낭비였다”고 지적했다.

수잔 리 부당수는 “전적으로 연방총리의 잘못이며, 우리에게 결코 불필요했던 국민투표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보이스 발상이 제기된 직후 지난해 11월 반대 당론을 이끌었던 국민당의 데이비드 리틀프라우드 당수는 더욱 거센 톤으로 앤소니 알바지니 연방총리와 집권 여당을 공격했다.

리틀 프라우드 국민당 당수는 “지난 16개월 동안 연방총리가 한 것이라고는 오직 물가 폭등과 국민 분열 밖에 없다”면서 “알바니지 총리는 지금부터라도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며 그것이 바로 정부의 역할이다”라고 일침을 가했다

상호 간의 정치적 공방에도 불구하고 여야는 원주민들의 ‘취약한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에는 한목소리를 냈다.

무소속의 재키 램비 연방상원의원은 “최근 수년간 원주민들에 대한 실질적 지원 대책 결여로 원주민들이 큰 대가를 치렀다”고 주장했다.

재키 램비 연방상원의원은 “현실적으로 노동당 정부는 원주민 지역사회를 생명의존장치로 내몬 상태이다”라고 돌직구를 던지면서 “2년 동안 아무것도 한 것이 없고 다른 계획도 전무한 상태임에도 이에 대한 반성도 없이 언급조차 하지 않으려 하는데 이제는 진지한 논의를 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한편 자유당 당론을 무시하고 보이스 공개 지지를 위해 당직에서 물러났던 줄리안 리서 의원은 “국민투표가 부결된 만큼 이제부터라도 원주민과의 화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의 리차드 말스 부총리 겸 국방장관도 여기에 적극 동의했다.

리차드 말스 부총리는 “국민투표 결과를 교훈삼아 원주민과의 격차 해소 및 화합을 위한 행동에 더욱 나서야 하고 국가적 단합의 정신으로 더욱 정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피터 더튼 자유당 당수는 원주민 지역사회의 아동성추행에 대한 로열커미션 조사 실시 및 원주민 프로그램 예산집행에 대한 감사의 필요성에 방점을 뒀다.

피터 더튼 당수는 “국민투표 결과가 나온 직후 언급한대로 자유당은 현실적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이다”면서 “원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착취와 사기 등의 행위부터 근절해야 하고 정부의 예산인 진정 필요로 하는 원주민들에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피터 더튼 당수는 원주민에 대한 헌법적 지위 인정을 위한 추가 국민투표 방안은 추후에 검토할 것이라며 일단 보류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