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자원부 장관이 국내 가스 공급량 확보를 위한 첫 단계는 이른바 "가스 트리거(gas trigger)" 발동이 될 것이라고 확인했다.
Highlights
- 연방정부…내년 내수용 가스 공급 보장 안 될 시 ‘가스 트리거’ 발동 경고
- 가스 업계...ACCC의 국내 공급량 부족 경고에도 ‘그런 일 없을 것’이란 입장
- 호주정부…'가스 트리거(ADGSM)' 개정해 2030년까지 확대 적용할 계획
이에 따라 가스 생산업체들은 2023년 국내 가스 공급량이 부족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수출량에 제한을 받게 된다.
연방정부는 국내 가스 수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호주국내가스안보계획(ADGSM: Australian Domestic Gas Security Mechanism)', 이른바 '가스 트리거'를 2030년까지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연방정부는 내수 시장용 가스 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가스 생산업체들의 수출량을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이 같은 내용의 '호주국내가스안보계획'은 내년 1월 종료될 예정이었다.
매들린 킹 자원부 장관은 연방정부가 ‘가스 트리거’를 발동할 의사가 있다는 통지를 가스 생산업체들에 할 것으로, 이들 업체들은 2023년 예상되는 가스 공급량과 수출량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킹 장관은 “지난 10년 동안 에너지 정책과 22개의 다수의 정책에서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에너지 안정성과 공급 측면에서 호주가 매우 힘든 상황에 있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현 정부는 일반 가정과 사업체들에게 공급이 충분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킹 자원부 장관은 오는 10월 수출 통제권 발동 여부를 결정할 예정으로, ‘가스 트리거’ 발동 결정이 내려지면 2023년 1월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
정부의 이 같은 대응은 앞서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 ACCC의 보고서에서 내년 국내 가스 공급이 상당히 부족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 데 따른 것이다.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는 2023년 국내 가스 수요의 10%가량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더 비싼 가격으로 팔 수 있는 수출용 가스 확보를 위해 가스 생산업체들이 내수용 가스 공급을 출이거나 철회하는 데서 대체로 비롯된 것으로 해당 보고서는 분석했다.
하지만 가스 업계는 2023년 국내 수요를 충족시킬 공급량이 있다는 입장이다.
가스 생산업계는 예상된 가스 공급 부족분보다 3배나 많은 수출 미계약 가스가 내수 시장에 공급될 수 있다며 가스 공급량 부족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