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s
- 2월 1일 미얀마 군사 쿠데타 발생 이후 시위 참석 시민 520명 이상 사망
- 유엔 미얀마 특사 “내전 확대 가능성 커져… 유엔 안보리 조치 취해야”
- 미얀마 군부, 소수 민족 무장단체들에게 한 달간 휴전 제안
유엔 미얀마 특사가 군부의 유혈 진압이 이어지며 미얀마 쿠데타 사태가 내전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키고 정권을 장악한 뒤 현재까지 규탄 시위에 나선 시민 52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크리스티네 슈라너 부르게너 유엔 미얀마 특사는 수요일 미얀사 사태가 내전으로 치닫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위기 해결책을 위한 절박함이 이보다 더 명확할 수는 없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르게너 특사는 “의미 있는 행동이 취해지지 않는다면 대학살을 목전에 뒀다”라고 강조했다.
수치 여사의 구금과 군사 정권의 쿠데타에 항의하는 시민 집회가 두 달 동안 이어져 온 가운데 최근에는 무장한 반군 단체와의 긴장 역시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부르게너 특사는 “쿠데타에 반대하는 민족 단체와의 긴장감이 증가하며 전례 없는 규모의 내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라며 “군부의 잔혹 행위가 너무나 심각하고 소수민족 무장단체들은 군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취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미얀마 군부가 소수 민족 무장단체들에게 한 달간의 휴전을 제안했다. 하지만 군부는 정부의 안보와 행정에 지장을 주는 행동에 대해서는 예외를 둘 것이라며 민주화 시위에 대한 강경 진압 의사를 고수했다.

Protesters carry an injured protester during a demonstration against the military coup. Source: AFP
앞서 무장단체인 카렌민족연합(KNU)은 '미얀마 국군의 날'에 정부 군을 공격했으며, 형제 동맹(BA), 미얀마민족민주주의동맹군(MNDAA), 아라칸군(AA), 타앙민족해방군(TNLA) 등도 미얀마 정부의 대량 살상 행위에 대응해 반군 세력들과 협력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로위연구소의 헤르베 르마위 연구원은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군부의 폭력적인 진압이 미얀마 내전에 대한 우려를 재점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SBS와의 인터뷰에서 "수십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미얀마는 해결되지 않은 내전의 상태에 놓여있다”라며 “상황이 조금 달라진 것은 미얀마 군부가 본질적으로 여러 전선에서 전쟁을 치러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 생활의 최신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여러분의 손안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 SBS Radio 앱을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