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정부, 미얀마 군사 쿠데타 대응 ‘제재 조치’ 검토 중

마리스 페인 외무 장관이 상원 질의에 답하며 호주 정부는 현재 미얀마 군사 쿠데타와 연관된 사람들에게 제재 조치를 가할지를 진지하게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Marise Payne during Senate Estimates at Parliament House in Canberra.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Marise Payne during Senate Estimates at Parliament House in Canberra. Source: AAP

Highlights
  • 쿼드 정상, 미얀마 민주주의 회복 촉구 성명서 발표
  • 호주 정부, 미얀마 군사 관계 중단
  • 한국 정부, 국방·치안 분야 새로운 교류·협력 중단, 국방정례협의체 설립과 치안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계획 취소
호주 정부가 미얀마 군사 쿠데타 배후 인물들에 대한 제재 확대를 진지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마리스 페인 외무 장관은 평화적인 시위대를 향한 폭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지역 국가들이 군부 탄압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페인 장관은 “동남아 국가들이 쿠데타 해결과 관련해 가능한 길을 찾기 위해 노력해 왔다”라면서도 현재까지 해결책이 불분명하다는 점을 인정했다.

이런 가운데 목요일 상원 질의에 답한 페인 장관은 호주 정부가 현재 군사 쿠데타와 연관된 사람들에게 제재 조치를 가하는 것을 계속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그녀는 “명단에는 5명이 올라있고 조언을 들으며 동료들과 함께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페인 장관은 검토가 언제 끝날지에 대한 명확한 시간표는 내놓지 않았다.

페인 장관은 “이 이슈는 매우 역동적인 것으로 우리가 현재 다루고 있는 문제들”이라며 “매우 중요한 문제들이고 심각하게 다루고 있다”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 영국, 유럽 연합은 미얀마 쿠데타 지도부에 대한 제재 조치를 발표했으며, 호주 역시 동맹국들을 따라야 한다는 지속적인 압박을 받고 있다.

호주는 지난달 미얀마와의 군사 관계를 중단하고 미얀마를 지원하는 방법을 비정부기구를 통하는 방법으로 전환한 바 있다.

유엔 인권이사회 역시 미얀마에서 벌어지는 인권 침해를 규탄하는 결의안을 수요일 채택했다.

미얀마 보안군은 지난 2월 1일 군사 쿠데타를 벌여 아웅산 수치 고문과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 지도자들을 감금했다. 미얀마에서는 연일 쿠데타를 반대하는 시위가 열리고 있으며 폭력 대응에 따른 사망자의 수 역시 계속 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미얀마 군부가 무고한 시민들에게 무차별 총격을 가한 후 시신까지 탈취해 화장했다는 보도가 나온 후 시민들의 분노가 더욱 커지고 있다.
호주 생활의 최신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여러분의 손안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 SBS Radio 앱을 만나보세요.


Share
Published 25 March 2021 4:09pm
By Tom Stayner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