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애벗 전 연방 총리가 일부 고령의 코로나바이러스 피해자들이 자연사하도록 내버려 둬야 한다고 주장한 후 정치권에서의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연방 야당의 앤소니 알바니즈 당수는 수요일 아침 캔버라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토니 애벗은 연민이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제 새로운 최저 기록을 달성했다”라고 직격했다.
알바니즈 당수는 이어서 “이 사람은 모리슨 정부의 일원이었다”라며 “우리나라의 연방 총리가 되는 특권을 누렸던 사람”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또한 “그가 발언을 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은 코로나19로 영향을 받은 사람들과 가족들에게, 이런 발언을 읽는 호주인들에게 큰 상처를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애벗 전 총리의 발언으로 논란이 이어지자 마티어스 코먼 연방 재정 장관 역시 애벗 전 총리의 발언은 연방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며 거리두기에 나섰다.
코먼 장관은 의원 회관 앞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분명히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고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국민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이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런던 정책 거래소에서 기조 연설을 한 애벗 전 총리는 빅토리아주의 락다운 조치를 ‘의료 독재’라고 맹비난하며, “더 많은 정치인들이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사망이 생명을 구할 만큼 가치가 있는지를 고려했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애벗 전 총리는 “봉쇄 조치가 질병을 줄일 수는 있지만 제거하지는 못한다”라며 “결과적으로 경제가 다시 살지 못하도록 막았을 뿐만 아니라 삶이 다시 시작되는 것도 가로막았다”라고 말했다.
애벗 전 총리는 “정부들이 팬데믹을 의료 경제학자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않고 트라우마 의사로만 접근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강제적인 셧다운 조치가 15만 명의 사망자를 피하기 위한 조치라고 하더라도 생명 1명을 살리는데 200만 달러를 쓴 것”이라며 “만약 사망자의 평균 연령이 80세이고 기대 수명이 10년 정도 남았다고 본다면 양질의 삶을 위해 연간 20만 달러을 쓴 것이고 이는 정부가 일반적으로 생명을 구하는 약 값을 준비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금액”이라고 말했다.
호주에서는 다른 사람과 적어도 1.5미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사는 주와 테러토리의 조치와 모임 인원 규정을 확인하세요.
감기나 독감 등의 증상이 있다면 집에 머물거나 의사 혹은 ‘코로나바이러스 건강 정보’ 핫라인 1800 020 080으로 연락해 검사를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