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는 코로나19를 여타 호흡기 바이러스처럼 관리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2023년에는 "맞춤형 관리"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앞으로도 무료 코로나19 백신을 계속 제공하며 더 나은 백신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부스터 접종을 장려하기 위해 전국적인 캠페인을 진행하고, 새로운 변종과 다가올 대유행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국민들에 조언을 제공하며,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인식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3년 겨울 대비 캠페인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및 기타 호흡기 바이러스 관리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코로나19 확진자 관리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호주인들은 계속해서 전국 핫라인 '코로나 서비스와 함께하는 헬스다이렉트(Healthdirect Living with COVID service)' 번호1800 020 080을 통해 집에서 증상을 관리할 수 있다.
메디케어가 있는 확진자는 직접 진료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병원 밖) 상담을 위해 원격 의료(비디오 및 전화 서비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연방정부는 2023년 3월부터 GP 주도의 호흡기 클리닉 서비스를 폐지할 예정이다.
연방 정부는 호흡기 감염 증상이 있는 사람들을 평가하고 검사 및 관리하기 위해 2020년 3월부터 지역 GP와 함께 클리닉을 설립했다.
하지만 당국은 필요에 따라 모든 호흡기 질환 치료를 비롯 "감염 환자 및 의료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서 발생하는 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이 클리닉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 검사
정부는 코로나19 검사 요건을 향후 12개월 동안 다른 호흡기 질환 관리 방식과 맞춰 나가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에서 "코로나19 검사는 더 이상 감시 도구가 아니며 항바이러스 치료제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더 표적화해 사용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2023년 1월 1일부터 호주인들은 메디케어가 지원하는 PCR 테스트(무료)를 받기 위해서는 위해 의사나 간호사의 추천서를 받아야 한다.
위험도가 낮은 사람은 PCR 검사를 받을 필요가 없거나 권장되지 않는다.
하지만 호흡기 등 코로나19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신속항원검사(RAT)를 받을 것이 권고된다. RAT 결과가 음성이지만 증상이 지속될 경우 GP를 만나야 한다.
코로나19의 중대한 고위험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PCR 검사와 1차 진료 서비스에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보건노인복지부
고위험 집단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노년층, 원주민, 장애인, 문화 및 언어적으로 다양한 공동체의 사람들, 외지에 사는 사람들, 복잡한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 면역저하자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주 및 테러토리 검사 클리닉, 병원 및 GP 주도 호흡기 클리닉에서 GP 추천서 없이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위험도가 낮을 경우 검사를 거절당할 수도 있다.
호주 질병통제센터(CDC) 설립
연방정부는 미국의 질병통제센터와 유사한 방식의 호주 질병통제센터(CDC)를 설립할 계획이다.
"호주 질병통제센터(CDC)를 설립하는 것은 코로나19의 교훈을 활용하고 호주가 미래의 전염병 및 기타 공중 보건 문제에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지난 10월 예산을 통해 투입된 지원금을 통해 설립이 추진 중이다.
호주의학협회의 스티븐 롭슨 교수는 CDC가 독립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CDC는 정치적 이익이 아닌 공익을 위해 행동할 수 있는 자금 구조와 신뢰를 가져야 합니다.
롭슨 교수는 "CDC가 대중과 의료계에 공개하는 의료조언은 증거에 기반하고 투명하며 모든 정치적, 외부적 영향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신 건강 지원
연방 보건부 마크 버틀러 장관은 얼마 전 1월 1일부터 정신 건강 상담 횟수의 보조금 횟수를 20회에서 10회로 줄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버틀러 장관은 기존 시스템에 허점으로 인해 2021년 호주인들이 지원받아 사용한 상담 횟수는 평균 5회라고 설명했다.
연방 정부는 모든 호주인들에게 추가적인 디지털 정신 건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디지털 서비스를 통한 무료 및 저비용 상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역사회의 상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롱코비드 연구
호주 정부는 의회 조사와 진행 중인 연구가 끝나면 내년경 롱코비드 전략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호주의 코로나19 회복에 있어 주요 쟁점은 롱코비드(long COVID) 관리일 것입니다.”
READ MORE

코로나19 그리고 헤이 피버, 독감, 감기...그 차이점은?
그러나 연방 정부는 12월 31일 이후 전국 임상증거 대책 본부(National Clinical Evidence Taskforce)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
35개의 조직으로 구성된 이 대책 본부는 팬데믹 초기에 의료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임시 자문 기구로 설립된 바 있다.
연방 정부는 또한 코로나 입원자들을 위한 주 및 지역 정부와의 50:50 비용 분담을 종료했다.
SBS는 호주의 다문화, 다국어 지역 사회에 모든 코로나19 최신 소식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가장 편한 언어로 안전하게 정보를 얻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