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체류 호주 교민 입국 금지 조치 논란 '일파만파'...호주정부 "불가피"

آقای اسکات موریسون نخست وزیر استرالیا

آقای اسکات موریسون نخست وزیر استرالیا Source: AAP

호주 정부가 3일부터 코로나19 아비규환 상태인 인도에 체류중인 호주인들의 귀국을 잠정 금지하면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호주정부의 이번 조치에 대해 인도 교민사회 등 일부 인권단체들은 "자국민의 귀국을 거부하는 전례없는 인종차별적 조치이다"는 날선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호주 정부 인도 사태 1차 대처 방안

  • 인도 발 여객기 호주 운항 전면 금지
  • 호주 입국 희망일에 앞서 14일 동안 인도 방문 시 호주 귀국 금지
  • 위반시 최대 징역 5년 벌금 6만6600달러
  • 5월 15일, 현행 잠정 조치 검토


하지만 호주정부는 "전체 호주 국민들의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다"라고 논박했다.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그러나 "물론 현지의 상황이 호전될 경우 15일까지 예정된 입국 금지 조치를 앞당겨 해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한발짝 물러섰다.

그는 또 관련 규정 위반으로 인도 내 호주교민이 실제 처벌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인도의 코로나19 통제불능상황은 점입가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콧 모리스 연방총리는 인도에 발이 묶이게 된 호주교민들에 대해 "인내력을 보여달라"고 주문했다.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장기적 조치가 아니라 14일간의 입국 제한 조치"라는 점을 적극 상기시키며 "인도가 아닌 타국에서 2주 동안 체류한 호주 교민은 귀국이 허용되는 등 입국금지가 아니라 2주간 인도 체류 금지 조치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변했다.

즉, 앞서 빅토리아 주의 코로나19 팬데믹 2차 유행을 통해 호주가 경험한대로, 더 큰 화를 면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점을 적극 강변한 것.

이런 가운데 사사건건 연방정부에 몽니를 부려온 말콤 턴불 전 연방총리는 또 다시 "인도 체류 호주 교민의 호주입국 강행시 최대 5년의 징역형이나 6만6600달러의 벌금형 규정을 마련한 연방정부의 조치는 매우 부적절하며 조기에 해제해야 한다"고 일갈했다.
실제로 호주 내 인도 교민사회의 반발도 한층 거세지고 있다.

호주인도교민단체들은 일제히 "불가피하게 인도를 방문 중인 호주 교민들의 귀국을 즉각 허용해야 한다"면서 "법적 문제를 떠나 인도 방문 중 상상할 수 없는 어려움에 직면한 이들 호주 교민들에 대해 도움을 지원해야 할 도덕적 의무가 있는 호주정부가 이들을 오히려 벼랑끝으로 내몰고 있다"고 질타했다.

한편 호주크리켓협회는 현지에 발이 묶인 호주 크리켓 선수들은 "인도에 여행을 간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직업적 생계를 위한 필수 방문이었다"면서 "이들의 안전을 위해 협회 차원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호주 생활의 최신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여러분의 손안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 SBS Radio 앱을 만나보세요.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