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부하 상태가 된 코로나19 테스트(PCR)의 대안으로 정부가 강력히 권장하고 있는 자가 검진 신속항원검사(RAT) 키트의 품귀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코로나19 테스트 난맥상
- PCR 검사소 과부하…시드니 28곳 잠정 폐쇄
- RAT 키트, 품절 품귀 폭리
- 연방정부 “모든 것을 무료로 할 수는 없다”
- 야당 “무상 보급 실시하라”
대다수의 약국과 수퍼마켓에서는 신속항원검사 키트 품절이라는 팻말이 나붙고 있는 가운데 일부에서는 평상시 가격보다 2~3배 뛴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제보마저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 검사를 둘러싼 난맥상이 계속되자 야권의 파상 공세가 본격화하고 있다.
연방 노동당의 앤소니 알바니지 당수는 “그야말로 연방정부의 무능함이 역력히 드러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알바니지 당수는 “코로나19 검사소들이 폐쇄되고, 문을 연 검사소에서는 최대 8시간 까지 기다리기도 하며, 결과를 받아보는 것도 평상시보다 2, 3배 길어지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 속에 대안이라고 꺼내든 신속항원검사는 키트를 구할 수 없는 상황이다”라고 개탄했다.
그는 “설령 구할 수 있어도 그 가격이 너무 비싸고, 서민층 대가족은 엄두를 내기 힘 들 정도의 폭리가 자행되고 있지만 정부는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NSW주 노동당의 크리스 민즈 당수는 2GB와의 인터뷰에서 “연방정부 차원에서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확보해 무상으로 보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크리스 민즈 당수는 “현재 연방정부가 PCR 테스트 제조사에 10억 달러 이상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고 막대한 예산을 들여 코로나19 검사소를 운용하고 있다”면서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무상으로 공급하는 것이 종국적으로 예산을 절감하는 방편이 될 것이며 다른 주요 국가들도 이를 통해 큰 성공을 거뒀다”고 주장했다.
앞서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신속항원검사 키트의 무상 보급 요구를 일축하며 “노인요양원과 일부 취약계층에는 무료로 공급하고 있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