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낙제점’…한국보다 순위에서 밀려

Thousands rally in Sydney calling for greater action to address climate change.

Thousands rally in Sydney calling for greater action to address climate change. Source: AAP

폐막을 앞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독일의 국제 환경평가기관 저먼워치와 기후 연구단체인 뉴클라이밋 연구원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90%를 차지하는 60개국과 유럽연합(EU)을 대상으로 기후 정책과 이행 수준을 평가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순위를 발표했다.


호주의 기후변화대응지수가 조사 대상 64개국 중 순위권 밖으로 밀리는 등 최하위로 평가됐다.  

한국은 59위로 기록됐다.

독일의 국제 환경평가기관 저먼워치와 기후 연구단체인 뉴클라이밋 연구원은  영국 글래스고에서 계속되고 있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이같은 순위를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순위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90%를 차지하는 60개국과 유럽연합(EU)을 대상으로 기후 정책과 이행 수준을 평가해 수치로 환산한 결과다.
저먼워치와 뉴클라이밋 연구소는 전 세계 어떤 나라도 평가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1~3위를 선정하지 않았다.

덴마크가 4위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고 스웨덴, 노르웨이, 영국이 그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온실가스 배출, 재생에너지, 에너지 소비, 기후 정책 등 4개 부문에서 각각 점수를 책정해 평가하고 모든 점수를 합산해 종합 점수를 냈다.

조사기관은 호주정부의 2050 탄소중립목표에 대해 새로운 정책도 아니며 구체적 목표 달성 정책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비판했다.

하지만 연방정부는 개의치  않는다는 입장이다.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새로운 테크놀로지 개발을 통해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모리슨 총리는 봉쇄조치가 완화된 멜버른을 방문한 자리에서 저탄소 배출 테크놀로지 개발을 위해 관련 기업들에 총 10억 달러의 자금을 지원할 것이며 이 가운데 5억 달러를 청정에너지재정공사를 통해 집행해  전기차 개발 및 탄소포집 기술개발비 등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