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사우스웨일즈 주정부가 봉쇄령의 1단계 완화 조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자 일부 호주의학계 인사들이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다.
NSW, 10월 11일 1단계 완화조치 시행
- 의학계, 성급하고 조급한 조치. 백신 접종 완료율 80%부터 완화 견해 제시
- 경제계, 더욱 과감한 완화조치 절실
- NSW주정부, 1단계 완화조치 10월 11일부터 시행...대부분 소매업체 영업재개(백신접종 완료자 고객 대상)
호주의학협회는 정부 발표에 대해 “공공보건 전문가들의 조언이 무시되고 배제된 듯 하다”고 직격하며 “주정부의 추가 완화 조항 등이 NSW주 수석의료관 케리 챈트 박사의 동의 없이 전결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도미닉 페로테이 주총리의 7일 오전 기자회견장에 케리 챈트 수석의료관이 배석하지 않아 취재 기자들과 페로테이 주총리가 가벼운 설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호주의학협회의 일부 관계자는 “자칫 크리스마스 직전 다시 봉쇄조치로 돌아갈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한 조치이다”라고 경고했다.
즉, 너무 성급하고 조급한 조치라는 공박인 것.
호주의학협회 NSW 지회장을 맡고 있는 다니엘 맥멀란 박사는 “조급한 조기 완화로 지역 감염자가 크게 늘어날 수 있고 위중환자도 비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맥멀란 박사는 “일상회복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주민들의 안전이 최우선시돼야 한다”고 원론적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국내의 저명한 전염병학자로 WHO 자문관인 NSW 대학의 매릴루이즈 맥로우즈 교수도 접종 완료율 80%까지 완화조치를 미뤘어야 했다는 견해를 비쳤다.
맥로우즈 교수는 “70%에 경제 재개를 하는 것은 취약층, 지방지역, 40대 이하 모두에 걸쳐 70% 접종 완료율을 보여야 한다는 것을 가정해야 하는데 현실과는 차이가 많다는 점에서 80%의 접종 완료율 도달에 앞서 봉쇄조치치를 대폭 완화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단정했다.
의학계의 이 같은 반응에 대해 경제계는 이구동성으로 “과잉 반응이다”면서 “아직까지도 의학계는 코로나19 박멸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 같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일부 매체들도 "주정부의 이번 조치는 매우 적절했다"면서 "이제는 일상의 삶을 되찾아야 할 시점이다"라고 못 박았다.
NSW주의 백신 접종 완료율 70% 돌파를 기점으로 어제 발표된 주정부의 봉쇄조치 완화 방안에는 가정 방문 외부인 수를 5명에서 10명까지, 그리고 야외 모임 가능 인원 수도 당초 10명에서 30명으로 늘렸다.
또한 장례식, 결혼식, 종교집회 참석 조건 등도 한층 완화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