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원주민 헌법기구 '보이스 국민투표' 10월 14일 실시
- 질문 내용: "제안된 법규: 호주의 첫 주민들을 인정하기 위한 '원주민 및 토레스해협군도민 보이스' 설립에 대한 헌법 개정. 이 개정안에 찬성하십니까?"
- 투표용지에 영어로 YES(찬성) 혹은 NO(반대)를 기입
원주민 헌법기구 보이스 국민투표를 6주 앞두고 찬반 진영 모두 접전 지역에 화력을 집중하고 있다.
수요일 앤소니 알바니지 연방 총리는 애들레이드에서 '보이스 국민투표'를 10월 14일에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보이스 찬성 진영과 반대 진영 모두 태즈매니아주와 남호주주를 최대 격전지로 꼽고 있다.
이같은 상황을 반영하듯 알바니지 연방 총리 역시 애들레이드를 국민투표 날짜를 발표하는 장소로 선택했다.
국민투표(Referendum)는 주민투표(Plebiscite)와 달리 이중 과반수 원칙이 적용된다. 때문에 국민투표가 통과되기 위해서는 전체 유권자의 합산 표에서 찬성이 과반수를 넘어야 하고, 이와 동시에 6개 주 중 4개 주 이상에서 찬성이 과반수를 넘어야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호주주와 퀸즐랜드주에서는 반대표가 과반수를 넘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찬성과 반대 진영 모두 격전지로 평가되는 남호주와 태즈매니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애들레이드를 방문 중인 반대 캠페인 진영의 자유당 자신타 남피진파 프라이 원주민부 예비장관은 스카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두곳의 격전지(남호주, 태즈매니아)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프라이 의원은 “여론 조사 결과를 보면 반대 표에 대한 지지는 태즈매니아가 남호주보다 조금 앞서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안주하지 않을 것이다. 남호주주가 태즈매니아와 마찬가지로 격전지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 모든 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호주인들이 실제로 알 수 있도록 몇 주 동안 열심히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녹색당의 라리사 워터스 상원 의원은 국민투표 캠페인 기간 중 보여준 피터 더튼 야당 당수의 행동에 실망했다며 “캠페인이 솔직하지 못하고 미국에서 수입한 음로론같다”고 직격했다.
워터스 의원은 “지난주 국민투표에 대해 우려를 제기한 더튼 야당 당수의 행동이 매우 실망스럽다”라며 “순전히 넌센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