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미얀마 시위 폭력 진압 규탄 성명’ 만장일치 동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가 미얀마 군부의 폭력 진압을 규탄하는 성명서에 만창일치로 동의했다.

Protesters disperse as Riot Police fire tear gas in Tharkata Township, outskirt of Yangon, Myanmar on 6 March 2021.

Protesters disperse as Riot Police fire tear gas in Tharkata Township, outskirt of Yangon, Myanmar on 6 March 2021. Source: AAP

Highlights
  • 유엔 안보리, 미얀마 시위 폭력 진압 규탄 성명 만장일치 동의
  • ‘쿠데타’ 단어, 국제사회 제재 가능성 언급 빠져
  • 억류된 사람들 즉각적인 석방 요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가 반쿠데타 시위대를 향한 미얀마 군부의 폭력 진압을 규탄하는 성명서에 만창일치로 동의했다.

 

미얀마의 전통적인 우방 국가인 중국을 포함해 15개 이사국이 만장일치로 찬성한 이 성명서는 의장 성명으로 공식 채택된다.

성명서에는 “여성, 청소년, 어린이를 포함한 시위대에 대한 폭력 사용을 강력히 규탄한다”라는 내용과 “극도의 자제를 촉구한다”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하지만 ‘쿠데타’라는 단어와 국제 사회의 제재 가능성은 이번 성명서에서 언급되지 않아 영국이 주도한 성명서 초안에 비해 수위가 낮아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안보리는 성명에서 “의료진, 시민사회, 노조원, 언론인 등에 대한 제한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독단적으로 억류된 모든 사람들을 즉각 석방할 것을 요구한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이사회는 군부가 최대한 자제할 것을 요구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음을 강조한다”라고 덧붙였다.



안보리는 또한 크리스틴 슈레이너 버제너 유엔 미얀마 특사가 조속히 미얀마를 방문할 것을 촉구했다. 스위스 외교관인 버제너 특사는 미얀마 군부와 연락을 취하고 있으며, 수차례 미얀마 군부를 방문하겠다고 요청했지만 아직 허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안보리가 미얀마 쿠데타와 관련해 성명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안보리는 쿠데타 발생 후 3일 뒤인 2월 4일 성명을 발표하며 미얀마 사태에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다.
새로워진 SBS 라디오앱을 지금 다운로드하세요. SBS 라디오 앱으로 한국어 프로그램을 청취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Share
Published 11 March 2021 1:27pm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ource: AFP, SB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