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s:
- 도미니크 페로테이 뉴사우스웨일스 주총리 “코로나19 백신, 전염 멈춘다는 증거 없다”
- 피터 콜리뇽 교수 “백신 의무화 조항 폐지돼야”
- 호주의학협회 스티브 롭슨 회장 “의사에 대한 백신 접종 요구 지지”
보건 분야에서 일했던 로라(가명) 씨는 개인적인 이유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거부했으며 무급 휴가를 보내다 2년 전 계약이 해지됐다.
집에서 유일하게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로라 씨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잡일을 하고 소지품을 팔며 생활하고 있다.
로라 씨는 SBS에 “아이를 수영 수업에 보내거나 소아과 진료 예약을 할 여유조차 없다. 누군가의 생계에 대한 문제로 이는 작은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제 백신이 감염이나 감염 확산을 막지 못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왜 그 당시에 나 같은 사람에게 그토록 무거운 처벌을 내렸는가?”라고 말했다.
도미니크 페로테이 뉴사우스웨일스 주총리의 최근 인터뷰 역시 코로나19 백신 의무화에 대한 논쟁에 다시금 불을 붙였다.
페로테이 주총리는 최근 라디오 2GB와의 인터뷰에서 "백신이 전염을 멈춘다는 증거는 없다"라고 말했다.
백신은 전염을 멈추는가?
“백신이 전염을 멈추지 못한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롭슨 교수는 SBS와의 인터뷰에서 “백신을 맞은 사람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다른 근접 접촉자에게 코로나19를 옮길 가능성이 여전히 낮다”라고 강조했다.
롭슨 교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오미크론 확산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증거로 2022년 8월 26일 발간된 네이처 연구 내용을 제시했다.

On 1 March 2023, Coles joined other Australian employers in dropping their COVID-19 vaccination requirement for its team members at stores, distribution centres and other sites. Source: AAP / JAMES GOURLEY/AAPIMAGE
콜리뇽 교수는 “가벼운 감염의 약 30%를 예방하며 몇 달 동안만 예방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디킨 대학교 전염병학 전문가인 캐서리 베넷 교수는 새로운 변이를 대상으로 한 최신 백신에 대한 자세한 연구 결과는 아직 없다며 “하지만 영국의 최신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스터 샷을 맞은 후 감염 위험을 줄이는 데 최소 2~3개월간의 단기 효과가 있었다”라고 말했다.
사업체, 백신 의무화 조치를 해제해야 하나?
일부 민간 기업과 응급 서비스 분야, 거주형 노인 요양원, 장애인 치료 시설, 의료 시설들은 직장 보건 안전법을 이유로 직원들이 백신 접종을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콜리뇽 교수는 “노인 요양 시설에 살고 있는 입주자들이 백신과 부스터샷을 맞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것이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를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라며 “젊은 직원들에게 백신 의무화를 강조하는 것은 옳지 않다. 노인 요양원에 살고 있는 노인들에게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호주의학협회의 스티브 롭슨 교수는 이와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롭슨 교수는 “호주 보건부는 환자와 신체 접촉이 있거나 환자 샘플을 채취하는 의료 종사자에게 인플루엔자와 B형 간염 백신을 의무화하고 있다”라며 “이것들은 환자와 의료 종사자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롭슨 교수는 “노인 요양원과 장애인 시설에 있는 환자들은 종종 매우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코로나19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환자를 돌보는 의사들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베넷 교수는 “직장에서의 전염 위험성이 높을수록 위험 관리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 규칙을 마련하는 것이 적절하다”라며 “독감 백신에 대한 요구 사항이 마련돼 있는 고위험 환경에서는 유사한 코로나19 백신 요구 사항이 일리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정부의 입장은?
호주 보건부와 노인요양부는 예방 접종을 강력히 지지하지만,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정부 입장은 “자발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들은 SBS에 “호주 정부는 백신 의무화에 책임이 없다”라며 “주와 테러토리 공중 보건 명령이 특정 직업에 대해 의무적인 백신 접종 요건을 적용하고 있으며 제한적인 면제가 이뤄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뉴사우스웨일스주 보건 당국은 이는 주정부의 문제라며 언급을 거부했고, 빅토리아주 보건 당국은 백신 접종 정책은 개별 사업장의 몫이라고 말했다.
의료진 복귀
의료 업계에서 일했던 로라 씨는 백신 의무화 조치가 폐지된다해도 원래 역할로 돌아갈지는 “아직 정확지 않다”고 말했다.
그녀는 “근무 환경이 더 나빠졌다”라며 “나와 동료들을 부당하게 대했던 시스템의 일부가 되고 싶은지 아직 확신할 수가 없다”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호주의학협회의 롭슨 회장은 의료계를 떠난 대부분의 직원들이 백신 의무화와는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롭슨 회장은 “(이들이 의료계를 떠난 것은) 압박감, 의료 종사자에 대한 지원 부족, 열악한 직장 환경과 보수, 다른 문제들 때문”이라며 뉴사우스웨일스주 의료 인력 중 백신 접종 요구 사항 때문에 직장을 떠난 경우는 0.6%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롭슨 회장은 “백신 요구 사항을 해제한다고 해도 의료 인력이 극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베넷 교수는 “백신 의무화에 대한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건강에 훨씬 더 큰 위험을 초래하는 새로운 변이가 발생할 경우에는 직원들이 일선 업무를 다소 꺼릴 수도 있다”라고 조언했다.
SBS는 호주 다문화 사회를 위해 최신 코로나19 소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60개 이상 언어로 제공되는 코로나 바이러스 뉴스와 정보를 만나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