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6, 온실 가스배출 주요국 '주저' 속 합의도출 먹구름"

영국 글래스고에서 31일 개막하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기후변화 대응이 핵심 의제이지만 '탈석탄'에 대한 이견으로 합의 도출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Italian Prime Minister Mario Draghi and UN Secretary General Antonio Guterres during their meeting at the Chigi palace in Rome on 29 October 2021.

Italian Prime Minister Mario Draghi and UN Secretary General Antonio Guterres during their meeting at the Chigi palace in Rome on 29 October 2021. Source: AAP

주요 언론들은 중국, 인도, 호주 등이 주저하면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강력한 조치가 도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세계 최대의 온실 가스 방출국인 중국이 이번 회의를 앞두고 유엔에 제출한 최종 보고서가, 국제사회의 우려를 촉발시켰던 시진핑 주석의 입장과 별다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2050 탄소 중립 목표'를 설정한 호주를 비롯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가스 방출 대국인 인도 역시 획기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아울러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제시한 목표 역시 미 의회의 인준을 받을지의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것이 환경 전문가들의 공통된 우려다. 

특히 이 같은 분위기는 COP26에 앞서 열리고 있는 G20 정상회의를 통해 여실히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즉, G20 정상회의에서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 이행을 위한 공동 입장 표명을 추진하겠지만, 합의 도출은 여전히 어려울 것이고 더욱이 구체적인 제안은 별로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것. 

COP26 회의 직전 주요국 정상들이 각국 입장을 조율하고 논의를 진척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지배적인 여론이다. 

각국은 파리협약에서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기 대비 1.5도 이내로 맞춰야 한다는 방향에 합의한 바 있고 이번 회의가 실제 지구 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의 '최후의 기회'가 될 것이라는 지적인 것. 

그러나 최근 고조된 에너지 위기는 각국 정상들이 화석 연료에 대한 입장을 재고하게 했다고 미국 워싱턴 저널은  진단했다.

특히 코로나19 봉쇄 해제 후 화석연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중국, 영국 등은 자국 산업과 전력 공급을 위해 석탄에 의존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에 WSJ은 "석탄 문제가 G20 정상들의 정치적 해결의지를 가늠하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맥락에서 G20 정상회의에서 긍정적인 신호가 나오지 않는다면 COP26에서의 합의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외신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기후변화 의제 측면에서 G20 정상회의가 COP26의 연장선에 있고, 두 회의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G20은 지난 7월 나폴리에서 환경장관회의 및 기후·에너지 합동 장관회의를 열었지만, 석탄 화력 발전소 건설 중단과 석탄 사용 감축 시기 설정 등에 합의하지 못한 채 막을 내린 바 있다.

탄소 배출량이 많은 중국, 인도, 호주 등은 이러한 목표에 반대 목소리를 높였고, 터키,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도 같은 의견이었다.

한편 스콧 몰슨 연방총리는 인도네시아의 조코 위도도 대통령과 만나 2030년까지 1차 에너지 소비량에서 비화석 연료 비중을 최소 25%로 끌어올리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Share
Published 31 October 2021 5:58am
Updated 31 October 2021 10:44am
Presented by Yang J. Joo
Source: Reuters, SB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