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Source: SBS Korean
READ MORE

카드 뉴스: 주(States)마다 다른 호주의 공휴일
텍스트:
동족 상잔의 비극 ‘한국 전쟁’은 호주와 호주인에게도 남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한국을 돕기 위해 전쟁에 참전했던 호주인들은 무려17,000여 명에 이릅니다. 이중 340명이 전사했고, 1,216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29명이 전쟁 포로가 됐습니다.
UN의 깃발 아래 호주가 처음 참전한 전쟁이 바로 한국 전쟁이었는데요. 호주는 당시 육군(ARA: Australian Regular Army), 해군(RAN : Royal Australian Navy), 공군(RAAF : Royal Australian Air Force) 모두가 한국 전쟁에 병력을 파병했습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도발로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유엔 안보리는 즉각적으로 대응 조치를 취했는데요. 러시아가 불참한 가운데‘한국에 필요한 원조를 할 것을 회원국에 권고’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미국의 트루먼(Harry S. Truman) 대통령은 전쟁 발발 이틀 만인 6월 27일 미국 해군과 공군의 파병을 결정했고, 이후 6월 말에는 미국 육군도 한국 전쟁에 참전하기로 합니다. 16개국으로 구성된 유엔군, 다른 5개국은 의료 지원 부대를 파병하는 등 총 21개 유엔 회원국이 한국을 돕기 위해 나섰습니다. 이 중에 육군, 해군, 공군 병력 모두를 한국 전쟁에 보낸 나라는 미국에 이어 호주가 두 번째 국가였습니다.
6월 28일 호주의 로버트 멘지스(Robert Menzies) 연방 총리는 한국 전쟁에 호주 해군(RAN) 파병을 결정했고, 며칠 후에는 호주 공군(RAAF) 77비행 대대(No. 77 Squadron) 파병이 결정됐는데요. 이후 7월 26일에는 호주 육군 제3대대(3RAR) 역시 한국 행이 결정됐습니다.
7월 1일 일본을 떠난 호주 해군 HMAS 숄헤이븐 호와 HMAS 바탄 호는 호주군 가운데는 가장 먼저 부산에 도착했고, 다음날에는 호주공군 제77비행 대대가 한국 전쟁에 참여합니다. 그리고 9월 27일 일본을 떠난 호주 육군 제3대대(3RAR)는 다음 날인 28일 부산에 도착해 북한 진격 작전에 가담하게 됩니다.
영연방 제27연대에 소속되어 연천 전투와 박천 전투에 참여했던 호주 육군 제3대대의 찰스 그린(Charles Green) 중령은 10월 29일 적이 쏜 포탄에 전사했고, 고국의 국가 보훈처는 2015년 11월 호주군 찰스 그린 중령을 6.25 전쟁 영웅으로 선정했습니다.
한국 전쟁에 참여한 호주 군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전투는 바로 ‘잊혀진 전쟁’이라고 불리는 ‘가평 전투’(1951년 4월 23일~24일)인데요. 가평 전투는 중공군의 대 공세 당시 수적 열세를 딛고 아군이 방어선을 구축하도록 시간을 벌어준 기념비적인 전투로 기억됩니다.
당시 호주 육군 제3대대(3RAR)를 포함한 영연방 제 27연대는 3일 동안의 방어전을 전개하면서 자신들보다 무려 5배가 넘는 중공군을목숨으로 막아냈습니다. 이 전투로 호주 육군 제3대대(3RAR)는 32명의 젊은 군인의 목숨을 잃게 되었습니다. 또한 53명의 부상자가 발생하고, 3명이 포로로 잡히게 됐습니다.
이 밖에도 호주군이 참여했던 주요 전투에는 한강 전투(1951년 9월 19일)와 마량산 전투(1951년 10월 5일~8일) 등이 있습니다. 또한1951년 10월에는 HMAS 글로리 호를 대체하는 항공모함 시드니 호가 배치되었고 동해안과 서해안을 오가며 작전을 수행했습니다.
한국 전쟁에 참여해 목숨을 잃은 340명의 호주인들, 젊은 청춘의 시간을 한국 전쟁에서 보낸 수많은 참전 용사들에게 감사와 존경의마음을 표하는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요. 호주의 한인 사회는 캔버라, 시드니, 골드코스트에 이어서 이제 멜버른에서도 한국전 참전 기념비 건립을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