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상공회의소 “중국발 호주 입국금지 조치, 관광업계 타격”… 부분적 해제 요구

관광업과 무역업의 타격을 우려한 호주상공회의소가 중국발 호주 입국금지 조치의 부분적 해제를 요구하고 나섰다.

Tourists take photos in Sydney.

Tourists take photos in Sydney. Source: AAP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호주 정부가 중국발 외국인의 호주 입국 금지 조치를 일주일 연장한 가운데, 유력 경제 단체가 입국 금지 조치의 부분적 해제를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주 목요일 호주 연방정부는 2주간 시행해 온 중국발 호주 입국 금지 조치를 일주일 간 연장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Passengers from a China Southern Airlines flight touch down in Australia last month.
Source: Getty
모리슨 총리는 호주 보건 당국과 국가 안보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연장을 결정했다며, 금지 조치의 재연장 여부는 매주 검토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상공회의소(Australi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는 바이러스로부터 호주인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호주 관광 업계가 엄청난 타격을 입고 있다고 강조했다.

상공회의소의 존 하트 씨는 성명서에서 중국발 외국인의 호주 입국 금지 조치는 항공편으로 물건을 실어 나르는 다른 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중국에서의 호주 입국 금지 조치를 부분적으로 해제하는 것이 관광과 무역에 큰 혜택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존 하트 씨는 베이징과 상하이의 경우 바이러스가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으며, 이곳은 중국 항공 운항의 33%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People wear mask at a street in Beijing on Thursday.
People wear mask at a street in Beijing. Source: AAP
중국 베이징은 휴가에서 돌아오는 사람들이 14일 동안 자가 격리를 하도록 강요하고 있으며,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처벌하는 조치를 내놓았다.

이런 가운데 호주항만노조(Maritime Union of Australia)는 중국 본토에서 온 컨테이너선이 호주에 도착함에 따라 근로자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부 배들이 중국발 호주 입국 금지령을 위반하며 호주 항구에 정박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패디 크럼린 호주항만노조 사무총장은 멜버른과 다윈의 사례를 설명하며 “이들 배가 중국 항구를 떠난 지 14일이 되지 않아 호주 부두에 정박하도록 허가됐다”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연방 야당의 앤쏘니 알바니즈 당수는 연방 정부와 최고 의료 책임자들에게 문제를 제기하며 정부가 이 같은 상황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라고 쏘아붙였다.

알바니즈 당수는 퍼스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경계심을 가질 필요가 있고, 호주인의 건강이 최우선 사항임을 확실히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Share
Published 17 February 2020 10:59am
Updated 17 February 2020 4:33pm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