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ACCC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선 항공료는 팬데믹 이전에 비해 거의 30% 급등했다.
- 항공료 상승으로 인해 "할인가 이코노미석"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 반가운 소식은 항공편의 취소 건수나 지연 횟수가 정상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보고서 내용이다.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인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보다 국내선 항공료를 거의 30% 더 지불하고 있으며, 항공료는 크리스마스 연휴 전에 더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ACCC)는 일부 제한적인 수용 좌석 수와 높은 수요로 인해 15년 만에 최고가 기록을 세운 가격 상승으로 인해 "할인가 이코노미석"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했다.
ACCC는 또 호주의 3대 항공사들이 올해 상당한 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하며 항공사들을 면밀히 감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최근 발표된 ACCC의 호주 항공사 경쟁 보고서()에 실렸으며 이 보고서는 2020년 6월부터 분기별로 작성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0월 승객들이 2019년 10월보다 국내 항공료를 평균 27% 더 지불하고 있으며, 2022년 1월 이후 요금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redit: ACCC
브레이키 위원은 "항공사들이 높은 제트 연료 비용과 운영상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해 여객편 횟수를 축소함에 따라 여행에 대한 높은 수요와 공급 제한이 항공 요금 상승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일부 카테고리의 요금이 다른 요금보다 더 큰 타격을 받았다고 전했다.
할인가 이코노미석(discounted economy)의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으며, 2022년 11월 평균 요금이 2022년 4월에 비해 두 배 이상 올랐다고 밝혔다.
더 높은 가격대의 플렉서블 이코노미석(flexible economy)이나 비즈니스석 요금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ACCC가 계속해서 주시해 나갈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반가운 소식은 항공편이 취소되거나 지연되는 횟수가 정상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Credit: ACCC
젯스타와 버진 항공은 각각 3.9%와 3.6%로 가장 높은 결항 횟수를 기록했는데, 두 항공사 모두 장기 평균 결항 횟수인 2.1%를 웃돌았다.
업계 전반에 걸친 항공기 지연도 장기 평균인 18%를 훨씬 웃돌았지만 7월의 45% 지연율에서 10월에는 30%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