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자폐 인식의 날과 태권도-2] '발차기'가 자폐 아동에 미치는 영향은?

Taekwondo is an exercise that involves a lot of balancing actions. Credit: Joon No’s Taekwondo

Taekwondo is an exercise that involves a lot of balancing actions. Credit: Joon No’s Taekwondo

UN에서 지정한 '세계 자폐 인식의 날'을 맞아 SBS 한국어팀이 총 3편의 기사를 통해 그 의미를 되짚어보려한다. 2편에서는 태권도가 자폐스펙트럼 장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Key Points
  • 태권도, 균형 감각 개선·사회화 훈련에 긍정적인 역할
  • 자폐스펙트럼, 뇌 발달 질환으로 신체 균형 잡기 어려워…'발차기' 균형 감각 개선 도와
  • 태권도 '지시따르기' 훈련, 정서적 안정감에 큰 도움
  • 태권도, 자폐스펙트럼 뿐만 아니라 지적 장애에도 긍정적 영향
매년 4월 2일은 UN에서 지정한 '세계 자폐 인식의 날'입니다. SBS 한국어팀은 '세계 자폐 인식의 날'을 맞아 총 3편의 기사를 통해 그 의미를 되짚어보려 합니다.

앞서 1편에선 호주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현황에 대해 자세히 짚어봤습니다. 이번 2편에서는 스포츠, 특히 태권도가 자폐스펙트럼 장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LISTEN TO
Korean_31032024_Autismedi.mp3 image

[세계 자폐 인식의 날과 태권도-1] 호주, 유병률 추정치 세계에서 가장 높아…환자 늘어나는 이유는?

SBS Korean

06:32
자폐스펙트럼, 뇌 발달 관련 질환…신체 균형감각 유지 어려워

"소아 정신과 진료를 하면서 환자들, 부모님들한테 아이들 운동을 많이 시키라고 하고 특히나 태권도 시키라고 하는 말들을 많이 하게 된다.

태권도의 특성상 아이들의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그곳에서 태권도 외에도 많은 활동을 하고, 태권도를 하면서 규칙을 배워 나가고, 사회적인 매너를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사회성 증진에 굉장히 도움이 된다고 생각을 한다."

박성열 소아청소년 정신과 전문의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소아 청소년 환자들의 부모님에게 스포츠 활동, 특히 태권도를 추천한다고 전했습니다.

태권도는 발차기 동작을 통해 자폐스펙트럼 아동들의 균형감각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지시따르기'와 같은 교육을 통해 사회화 훈련에도 상당히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연경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는 자폐스펙트럼은 전반적으로 뇌 발달과 관련된 질환으로 신체 협업 능력, 신체 균형 감각을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연경 "자폐스펙트럼 이라고 하는 것이 보통은 의사소통의 어려움, 그리고 상동적인 행동으로 규정이 되기가 쉬운데, 사실을 신체 협업 능력, 밸런싱 능력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들이 많다. 왜냐하면 뇌 발달의 전반적인 연결과 관련된 질환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그런데 밸런스를 잘 잡지 못한다고 하는 것은 삶에 있어서 삶의 질에 있어서 많은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길을 가다가도 그냥 쉽게 부딪치고 넘어진다던지 물건을 잡고 가다가 떨어트려서 조금 민망한 일들이 벌어질 수 있다.

그런 일들이 반복되다 보면 자신감도 떨어지게 되고, 삶의 질과 맞닿은 있는 영역들이 생각보다 신체 조절 능력과 관련이 있는 경우들이 많다."

이는 자폐스펙트럼 환자의 사회적 자신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Joon No’s Taekwondo2.jpg
The students are learning Taekwondo at the Taekwondo studio. Credit: Facebook (Joon No’s Taekwondo)
태권도의 '발차기', 균형감각 개선에 큰 도움

태권도의 주요 자세 중 하나인 '발차기'는 자폐스펙트럼 아동들의 균형감각을 기르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발차기는 한 발을 통해 균형을 잡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김유미 박사와 동료들의 '태권도 개입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 따르면 태권도가 자폐 아동의 균형 개선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자폐성 장애 아동의 태권도 수련 순응도가 92%로 매우 높아 태권도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균형감각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소아청소년전문의 역시 태권도가 자폐스펙트럼 환자들의 균형감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연경 전문의는 "태권도는 우선 한 발로 온몸에 체중을 견디면서 밸런스를 잡아야만 하는 부분들이 있는 훈련법이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아이들의 신체의 균형감각을 회복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서 전체적인 자세의 불안정성을 교정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정연경 전문의
태권도의 '지시따르기' 훈련, 정서적 안정감에 도움

또한 태권도의 필수 수련 과정인 '품새'는 계획된 움직임과 훈련을 통해 자폐스펙트럼 환자들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줘 정신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김지태 단국대학교 생활체육학과 교수는 태권도의 주요 훈련 방법인 '지시따르기'는 명확하게 구조화된 메뉴얼로 자폐스펙트럼 환자들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태권도는 규칙적이고 예측 가능한 동작들을 통해서 부조화된 활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자폐 아동들이 일상에서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더욱 안정감을 느끼게 하면서 학습에 도움이 될 수가 있다.

또한 강한 체조적 요소와 동작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자극에 민감한 자폐 아동들에게는 자극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에, 자극에 둔감한 학생들에게는 감각을 증진시킬 수 있는 그런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태권도는 정확하고 순발력이 필요한 동작들이 포함돼 있어 집중력과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꾸준한 수련을 통해 정신적인 기민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동작의 다양성과 신체적의 활동을 통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가 있다.

이는 자폐 아동들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동료들과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동작의 정교함을 익히게 되면서 규칙의 순서를 익히는 동작을 통해서 행동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자폐 아동들이 자신의 몸을 더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가 있게 돕는다.

마지막으로 체력적인 노력과 집중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와 감정을 조절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는 자폐 아동들의 긍정적인 정서를 발전시키고 스트레스상황에서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도움이 될 것이다."
V Team Taekwondo
Võ đường V Team Taekwondo ở Melbourne là một sân chơi lành mạnh cho các em nhi đồng, thanh thiếu niên cũng như võ sinh từ nhiều độ tuổi khác nhau. Credit: Đăng Trình
정연경 전문의 역시 자폐스펙트럼을 가진 아이들이 태권도를 통해 바른 자세를 가짐으로써 뇌 성숙을 통한 자기조절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태권도는 품새로 이뤄져 있는 운동이다. 자폐 아동들의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이뤄진 일련의 계획적인 움직임을 따라하는 것을 조금 더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경우들이 많은데, 이러한 태권도의 특성이 자폐 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명확한 지시가 있다면 그것을 수용하는 것을 자폐 스펙트럼 아이들이 조금 더 편안하게 여기는 요소가 있다. 불명확한 상황들을 받아들이기를 좀 많이 어려워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떤 지시를 하면 '이러한 품새를 따라야돼, 어떤 지시를 하면 이렇게 차분히 앉아야 해'라는 규칙적이고 구조화된 매뉴얼이 분명히 존재하는 훈련법이 있다면 아이들은 이를 수행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을 것이다.

실제로 이제 훈련을 하는 것들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지만 기다리는 과정 또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다.

'기다리기'라고 하는 것이 밸런스가 잘 맞아야 가능하다. 바로 자세를 잡고 앉아 있는 것도 사실은 뇌에서 굉장히 많은 조절능력들을 통해서 이뤄지고 있는 과정이다.

생각해보면, 아기들은 가만히 앉아 있기를 못하고, 픽픽 쓰러지고 넘어져 뒤에서 잡아줘야 된다. 이것은 아기들의 뇌가 아직까지는 충분히 성숙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뇌 성숙이 이뤄질수록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들이 가능한데, 이런 것들이 태권도에서 훈련이 된다면 아이들의 일상생활에서도 전반적인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From left to right: Pediatric psychiatrist Dr Yeon-Kyung Jung, Professor Ji-tae Kim, Dr Sung-Yeol Park. Credit: SBS Korean
From left to right: Pediatric psychiatrist Dr Yeon-Kyung Jung, Professor Ji-tae Kim, Dr Sung-Yeol Park. Credit: SBS Korean
태권도, 지적장애에도 긍정적 영향 미쳐

아울러 태권도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뿐만 아니라,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김지태 교수의 '지적장애 청소년의 태권도 프로그램의 참여에 따른 체력 및 신체적 자기 개념변화' 논문에 따르면, 지적장애 청소년 역시 태권도를 배우고 난 후 신체적, 정신적 긍정적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김지태 교수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태권도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체력 및 신체 자기 개념의 변화'라는 논문에서는 지적장애의 청소년들이 태권도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어떻게 신체적, 정신적인 변화를 겪는지를 다루고 있다.

태권도는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신속한 몸의 이동을 요구하는 등 신체의 전 부위와 여러 가지 동작들을 모두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신적인 신체활동을 경험하게 되므로 근력, 지구력, 민첩성, 유연성, 순발력, 창의성 등 골고루 갖춰야 될 부분이 많이 있다.

또 자기 개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해 신체적 자기의 개념과 자긍심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논문에서는 태권도에서 태권도에 참여한 지적장애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체력적인 면에서 볼 때 근력, 유연성, 민첩성, 효용성 등에서 향상이 언급됐다. 신체적 자유의 개념에서는 신체적 능력, 외모, 자아 존중감에서 향상이 나타났다.

이는 태권도가 몸과 마음을 동시에 강화시키는 종합적인 운동이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효과라고 볼 수가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적장애 청소년들이 태권도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자기의 개발과 사회 참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가 있다. 따라서 태권도는 지적장애인들에게 단지 건강한 신체뿐만 아니라 그들의 긍정적인 정서와 가치관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모두에게 같은 효과 주진 않아…"아이 특성 고려해야"

다만, 박성열 전문의는 모든 자폐스펙트럼 아동들에게 태권도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진 않는다며, 아이의 특성에 맞는 운동을 해야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그는 "자폐 스펙트럼이라고 해서 모든 아이들이 똑같지는 않다. 자폐 스펙트럼 아이들 중에도 도움 되는 아이들이 있고 그런데 일부는 도움이 되지 않는 아이들도 있다.

왜냐하면 자폐 스펙트럼의 특징 중의 하나가 감각의 예민성인데 청각적인 감각이 예민한 아이들 중 큰소리를 못 견디는 아이들이 있다. 그런 아이들은 태권도장을 갔을 때 기합 소리를 견디지 못해서 굉장히 고통받는 경우도 있다. 그런 아이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은 운동이나 태권도는 도움이 된다고 생각을 한다.

특히나 태권도 같은 경우에는 자폐 아이들이 특징적으로 감각의 문제 때문에 감각통합이 잘 안돼서 전반적인 운동의 협응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협응 기능을 도와주는 데 도움이 된다.

사회성 증진에 도움되고, 사회성을 발달시킬 경험을 더 늘려주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대부분은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있다.

자폐 스펙트럼이라도 아이의 특성에 따라서, 자폐스펙트럼이 아니더라도 아이의 특성에 따라서 운동이라든지 태권도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고 첨언했습니다.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