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촉발된 호주의 각 주 및 테러토리간의 왕래 금지 조치가 국론분열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퀸슬랜드 주의 경계선 봉쇄 유지 방침에 대해 원내이션 당 당수 폴린 핸슨 상원의원은 “독재적, 위헌적”이라면 연방대법원에 위헌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폴린 핸슨 상원의원은 Ch9과의 대담에서 "다수의 헌법 전문가들에게 문의한 결과 타주 이동을 금지하는 것은 위헌적 소지가 있다는 자문을 받았다"라고 강조했다.
퀸슬랜드 출신의 폴린 핸슨 상원의원은 1차적으로 아나스타샤 팔라셰이 주총리와 만나 담판을 지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핸슨 상원의원은 퀸슬랜드주정부가 주 경계 봉쇄 유지에 대한 당위성을 설파해야 하는데,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 타 지역 주민들의 방문을 금지할 정도의 공중보건 문제가 심각하지 않다고 강변했다.
이와 함게 주 경계선 개방을 촉구하는 일부 주와 개방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주 정부간의 설전 역시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여기에 국내 관광업계들은 심각한 경제난 실업난을 상기시키며, 관광산업 회생을 위해 국내에서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6월 1일부터 NSW주내에서의 여행 재개를 허용한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주총리가 퀸슬랜드 주와 서부호주 주를 겨냥해 “타지역 주민들의 방문을 허용하라”고 촉구하자 해당 주정부가 원색적으로 공박하고 나섰다.
서부호주 주의 마크 맥고완 주총리와 퀸슬랜드 주의 아나스타샤 팔라셰이 주총리는 “코로나19 확진지가 가장 많은 주로부터 이래라 저래라 강의를 들을 이유가 없다”고 돌직구를 던졌다.
서부호주 주는 현재 타 지역 주민 방문 금지와 더불어 벽촌의 대표적 취약계층인 원주민 지역사회 보호를 위해 현재 주내에서의 여행도 제한하고 있다.
관광 수입이 막대한 퀸슬랜드 주 역시 9월까지는 타지역 주민들의 방문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NSW 주와 더불어 공식적으로 주경계를 봉쇄하지 않은 빅토리아 주와 ACT 도 6월 1일부터 자치 행정 구역 내에서의 여행을 허용키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