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투표 캠페인이 시작되면서 타가라카 및 구마치 출신 원주민 남성 코너 보우덴 씨는 잘못된 정보가 퍼지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그는 의회 헌법기구 보이스에 대해 설명하는 교육용 영상을 만들어 소셜 미디어에 업로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몇몇 사람을 설득할 수 있었지만, 개인적인 대가를 치러야 했습니다.
“그저 지식을 가르치고 전달하는 게 아니라, 사람들에게 들은 모든 거짓을 해명해야 했기 때문에 좌절감이 느껴졌습니다... 정말 어려웠습니다. 저는 세 개의 다른 플랫폼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에게 같은 대화를 수천 번 반복해야 했습니다.”
원주민 헌법기관 보이스(The Voice)가 의미하는 바에 대해 잘못된 정보와 가짜 뉴스가 만연했습니다.
국민투표 이후 원주민을 위한 위기 지원 핫라인 13YARN에는 매일 약 100건의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11월 첫 2주 동안 핫라인에 접수된 전화의 25%가 인종 차별과 학대 신고였습니다. 이는 평소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제도 사회 정의 위원회(Social Justice Commissioner) 케이티 키스 위원은 국민투표 결과가 일부 사람들에게 차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셈이 됐다고 말합니다.
SBS Examines 이번 에피소드는 원주민 헌법기관 보이스에 대한 국민투표가 부결된 지 1년이 지난 지금,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잘못된 정보 유포 문제에 대해 짚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