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서비스 알아가기: 호주 대표 장애인 지원 프로그램 NDIS

IMG_20230411_110048.jpg

Source: CASS

한인들을 위한 복지서비스를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호주의 대표적인 장애인 지원 프로그램 NDIS(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에 대해 알아봅니다.


홍태경 PD: 한인 관련 복지 서비스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장애인 관련 정부의 혜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카스에 제시 선생님 연결돼 있습니다.

제시 박 서포트 워커: 안녕하세요. 저는 카스 장애인 부서에서 팀 리더로 일하고 있는 박이라고 합니다.

홍태경 PD: 네 반갑습니다. 오늘 전반적인 호주의 장애인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먼저 가장 대표적인 프로그램이죠. 호주의 국가장애보험제도 NDIS 이 제도가 어떤 제도인지 먼저 좀 간단히 설명 부탁드릴게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NDIS는 호주의 장애인 대표 지원 프로그램이고요. 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의 약자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Agency 즉 NDIA에서 운영하고요. 자격을 갖춘 장애인이 가족 및 친구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독립성을 높이며 새로운 기술 습득과 직업 또는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펀딩을 제공합니다. 현재 약 50만 명 이상의 호주인이 NDIS를 통해 필요한 서비스와 지원을 받고 계시고요. 여기에는 발달 지원이 있는 아동 약 8만 명도 포함됩니다.

홍태경 PD: 그렇군요. 그렇다면 자격 요건이 있는 장애인의 경우에 이 보험 제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어떤 자격 요건이 필요한지 궁금해지네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NDIS는 영구적이고 중대한 장애가 있으며 65세 미만의 호주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여기서 영구적 장애란 평생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장애를 의미하며 중대한 장애는 일상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장애를 뜻합니다. 또 NDIS는 장애와 관련된 합리적이고 필요한 지원 및 서비스의 자금을 제공하고 있고요. 그래서 수혜자가 NDIS 지원을 통해 얻고자 하는 장기 단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합리적이란 말인데요. 이 합리적이란 말은 NDIS를 통해 가장 적절하게 지원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고요. 필요라는 말은 개인의 장애와 직접 관련된 필요성을 뜻합니다.
Picture2.jpg
Source: CASS
홍태경 PD: 그렇게 자격 요건에 충족하는 분들은 이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는데 그런데 이 서비스 종류도 굉장히 다양하다고 알고 있거든요. 어떤 종류의 서비스들이 포함되나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NDIS 수혜자가 되시면 이제 개인의 장애 유형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는데요. NDIS 버젯(예산)은 좀 여러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집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카테고리들은 코어 서포트(Core Supports), 핵심 서포트라고 불리고요.

네 카파서티 빌딩 서포트(Capacity Building Supports), 역량 강화 서포트 또 캐피털 서포츠(Capital Supports), 자본 지원 등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지고 또 각 카테고리별로 단기 및 장기 목표를 세워서 펀딩이 제공됩니다. 따라서 장애의 종류와 개인 사정에 따라 펀딩 금액과 기간이 각각 달라집니다.

홍태경 PD: 코어 서포트라고 하는 건 구체적으로 어떤 걸 말하는 건가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핵심 서포트 즉 코어 서포트는 일상생활 활동을 돕는 서비스인데요. 개인 활동을 돕는 서포트 들어보셨을 거예요. 서포트 워커(Support worker) 분들을 통해서 본인이 하실 수 없는 가사 쇼핑, 샤워 등의 지원을 받으실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홍태경 PD: 그 이외에도 카파서티 빌딩 서포트라고 하셨는데 그런 부분도 좀 더 자세히 설명 좀 부탁드릴게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네, 역량 강화 서포트 즉 카파서티 빌딩 서포트의 카테고리는 개인의 역량을 높일 수 있게 돕는 서비스고요. 예를 들면 건강 관리(exercise management), 식단 지원(dietetic supoort), 작업치료사, 물리치료 혹은 심리상담과 같은 건강 증진 서비스 등이 포함됩니다. 또 제가 캐피탈 서포트 다른 서비스들을 조금 더 부가적으로 설명드리자면 어떤 분들은 SDA로 불리우는 주거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기도 하시고요. 또 데이 프로그램 그룹 액티비티에 참여하실 수 있고 또 개인 활동 및 지역사회 참여를 위해 차량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또 보조기구 등의 구매도 포함이 되는데요. 즉 NDIS 지원은 장애인의 자립과 웰빙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하지만 식료품 구입 등 단순 생활비 지원은 제외가 되고요. 또 이 모든 서비스들은 가족이나 지역사회에서의 지원과 함께 활용될 수 있어야 합니다.

홍태경 PD: 아무래도 장애인들의 경우에는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런 분들을 위해서 교육을 하고 또 사회생활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그런 서비스가 많은 거군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네 그렇습니다.

홍태경 PD: 그렇다면 이 NDIS는 어떻게 신청을 하면 되는 건가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신청은 발달 지연 또는 장애가 있는 9세 미만 아동의 부모의 경우 해당 지역의 얼리 차일드후드 파트너(Early Childhood Partner)에 전화하셔서 신청을 하실 수가 있으시고요. 또 9세에서 64세 사이는 NDIS local area coordinator, 즉 지역 코디네이터 파트너라고 불리는 이 분들을 통해 신청이 가능 하세요. 이런 모든 지역 코디네이터 얼리차일드후드 파트너는 NDIS 웹사이트에서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홍태경 PD: 네 알겠습니다. 그리고 또 궁금한 점이 기존의 장애인 지원 수당(DSP)를 받고 있는 장애인분들이 있을 텐데요. 이분들의 경우에는 이 NDIS와 동시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건지 그 부분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거든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저도 개인적으로 이쪽 관련 질문을 참 많이 받는데요. 일반적으로 Disability Support Pension 즉 장애인 펜션을 받고 있는 분들도 추가 지원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으세요. 그래서 장애인 펜션은 주로 생활비 그리고 기본적인 생계 지원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서비스나 프로그램이 이를 보완하거나 또는 다양한 필요를 충족하도록 이제 NDIS에서 제공될 수 있고요. 하지만 장애인 펜션을 받고 있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NDIS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Picture3.jpg
Source: CASS
지역 코디네이터를 통해서 심사를 받으신 후 NDIS 지원은 결정이 되는 것이지 장애인 펜션이 곧 NDIS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고요. 반대로 NDIS 펀딩을 받고 있다고 해서 받고 계시는 장애인 펜션 혹은 간병인 수당(Carer’s Allowance)와 같은 인컴 서포트(Income support)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홍태경 PD: 그렇군요. 그리고 개별적으로 심사와 그 혜택이 주어진다는 것, 그 부분을 잘 알고 계셔야겠네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그렇습니다.

홍태경 PD: 알겠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이번에 세계 장애인의 날 12월 3일인데요. 이 날을 맞아 카스에서 준비 중인 행사가 있다고 하는데 좀 간단히 소개 부탁드릴게요.

제시 박 서포트 워커: 매년 12월 3일은 유엔이 지정한 세계 장애인의 날입니다. 이를 기념해서 저희 카스 장애인 부서팀에서는 11월 28일 목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버우드 아레슬 클럽에서 장애인들의 건강과 웰빙을 위한 특별한 건강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고요. 이번 행사는 버우드 RSL 클럽의 후원으로 저희 부서에서 기획되었고 장애인 지원 전문가와의 만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장애인들의 건강과 웰빙 향상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다룰 계획입니다. 또 이번 세미나는 건강 정보와 더불어 전문가들의 상담, 또 참여자들 간의 소통을 통해 장애인분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고 또 이 세미나를 통해 저희 다문화 장애인들의 건강 및 웰빙 복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홍태경 PD: 장애인들뿐만 아니라 그 장애인 가족들도 함께 가셔서 여러 가지 정보를 많이 얻고 오시면 좋을 것 같네요.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제시 박 서포트 워커: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홍태경 PD: 카스의 장애인 서비스팀 제시 박 선생님이었습니다.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