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앤드류스 빅토리아 주총리가 멜버른에서 최근 벌어진 시위와 관련해 연방총리가 한 발언은 “극단주의자에 대한 이중화법”이라며 비판을 가했다.
Highlights
- 펜데믹 법안 반대 시위자에 대한 연방총리 발언 "좌절감을 이해한다” 도마에 올라…
- 빅토리아 주총리, “표심 얻기 위한 것”
- 연방야당 당수: “폭력적∙극단적 행위를 분명히 비판하는 데 실패”
- 연방총리: “전적으로 폭력과 위협, 협박을 지속적으로 공공연히 비난해 왔다”
빅토리아 주정부가 발의한 '팬데믹 법안'에 반대하는 시위자들은 빅토리아 주총리에 대한 살해 협박을 연호하고 폭력을 선동하기도 했다.
모리슨 연방총리는 18일 이와 관련, 시위자들의 "좌절감을 이해한다(understood the frustrations)"라고 말했다.
앤드류스 주총리는 19일 연방총리의 이 같은 대응을 “위험천만한” 것이라 묘사하면서 연방총리가 내년 연방총선을 앞두고 극단주의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연방야당도 모리슨 총리가 내년 연방총선을 앞두고 극우 극단주의자들에 영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앤소니 알바니지 연방야당 당수는 모리슨 총리의 발언은 시위자들의 폭력적∙극단적 행위를 분명히 비판하는 데 실패한 것이라고 질타했다.
하지만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자신의 언급을 옹호하면서 시위대의 폭력적 협박에 대한 비난을 이보다 더 명백히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모리슨 총리는 “전적이자 완전하게 폭력과 위협, 협박을 지속적으로 공공연히 비난해 왔고 내가 하지 않은 일을 그렇다고 제안하는 것은 전적으로 잘못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 사안과 관련해 항상 분명하게 했고, 분명히 해 온 또 다른 것은 호주의 국가 계획으로, 호주 국민이 하기로 한 것을 했듯이 각 정부들도 그들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강변했다.
모리슨 총리는 18일 주정부들이 이제 “호주 국민에게 무엇을 하라고 말하는 것”에서 한 걸음 물러날 때라고 말하기도 했다.
락다운 및 백신접종 반대자들은 팬데믹과 관련, 정부에 강한 권한을 주는 이른바 ‘팬데믹 법안’에 격하게 반대하고 있다.
빅토리아 주정부는 곧 해제되는 ‘주 비상사태’를 대신해 ‘팬데믹 법안’을 시행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READ MORE

빅토리아주 ‘팬데믹 법안’ 미래 불투명
하지만 아뎀 소뮤레크 전 장관이 18일 반대표를 행사하겠다고 선언한 후 해당 법안의 논의가 지연되고 있다.
아뎀 소뮤렉 의원은 19일 정부에 매수되지 않을 것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해 해당 법안의 미래는 더욱 불투명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