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처 IN: 간편한 ‘캡슐커피’ 환경오염엔 치명적…포장용기 분리수거 난제

coffee capsules

캡슐커피 Credit: Unsplash/Jisu Han

전 세계에서 1분마다 2만 9000개의 캡슐용기가 매립되고 있다. 분리수거 난제 등의 이유로 일반 쓰레기로 배출되는 캡슐 용기가 환경오염에 치명적 영향을 끼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Key Points
  • 간편한 캡슐커피 분리수거 어려워 환경오염에 치명적
  • 전 세계에서 1분마다 2만 9000개의 캡슐 용기가 매립
  • 캡슐 커피 용기 자연 분해에 걸리는 시간은 무려 500년
  • 스위스서 해조류로 만든 막으로 둘러싸인 커피 볼 등장
현대인의 기호식품 1위는  단연 커피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일 23억 잔 이상의 억 잔의 커피가 소비되고 있습니다. 세계 인구 1인당 하루 평균 2.7잔의 커피를 소비한다는 의미죠.

최근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커피 시장의 판도가 크게 바뀌었습니다. 공공장소 이용에 대한 제약으로 많은 이들이 집에서 간편하게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인데, 바로 ‘캡슐커피’입니다.

캡슐커피 이용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캡슐 용기가 환경오염에 치명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습니다. 해외 각국이 이에 대한 대응책 강구에 나섰습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컬처 IN 유화정 프로듀서 함께 합니다.

주양중 PD (이하 진행자): 커피는 세계 시장에서 석유 다음으로 많이 팔리는 명실상부 세계인의 기호품인데, 호주인들의 커피 선호는 어느 정도인가요?

유화정 PD: 최근의 연구 조사에 따르면 호주인의 75%가 매일 최소 1잔의 커피를 섭취하고 있고 28%는 매일 3잔 이상을 즐깁니다. 또 개인의 84%가 매주 커피에 돈을 쓰거나 쓸 준비가 돼 있다고 답했습니다.

호주 내 커피숍이 20,000개가 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커피가 호주인의 일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나아가 호주 문화의 주요 부분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호주 밀레니얼 세대의 커피 소비량은 해마다 계속해서 극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드니 멜번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스페셜티 커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진행자: 호주 커피 소비도 만만치 않군요.  그러나 커피 하면 한국 아닙니까. 세계적으로 히트한 일회용 봉지 커피 ‘커피믹스’의 인기도 큰 몫을 했지만 워낙 커피 사랑에 열광적이다 보니  '커피 공화국'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는데, 노랫말에도 자주 등장하죠.  커피 한잔을 시켜놓고~

유화정 PD: 네 펄 시스터즈의 커피 한잔 60-70년대 히트곡이죠.. 다방이 우리나라의 커피 문화를 이끌던 시대에.. 요즘 세대라면 폴킴의 '커피 한 잔 할래요'가 먼저 떠오르지 않을까요?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 사람 한 명당 커피 소비량은 1년에 367잔으로 평균 1인당 하루 한 잔보다 조금 더 많습니다. 세계 평균 161잔의 2배가 넘는 소비이고요.

프랑스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입니다. 카페 아메리카노의 본산지 미국보다 한국인들이 카페 아메리카노를 더 많이 소비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진행자: 한 동안 바리스타 직종이 최고 인기 가두를 달렸는데요. 일명 홈 바리스타로  불리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과 질 좋은 캡슐커피의 등장으로 조금 주춤한 듯하죠. 그런데 캡슐커피는 언제부터 등장했을까요?

유화정 PD: 놀랍게도 캡슐커피는 43년의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1976년 당시 네스카페(Nescafe)로 인스턴트커피시장을 지배하고 있던 네슬레(Nestle)는 ‘불편함 없이 제대로 된 원두커피를 누구나 쉽게 마실 수 있도록 하자’는 생각으로 5g의 분쇄커피를 캡슐에 담아 40mL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자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은 당시 비웃음 거리가 됐습니다. 커피 양이 일정하지 않게 추출되거나 향과 맛 또한 떨어졌기 때문이었는데요. 그러나 네슬레는 이에 멈추지 않았습니다.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2000년 드디어 제대로 맛을 내는 네스프레소 기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합니다. “5g으로도 완벽한 커피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들의 말을 현실로 이뤄내면서 이후 작은 캡슐 하나로 다양한 맛을 구현하는 캡슐커피는 글로벌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진행자: 누구나 쉽게 숙련된 바리스타처럼 ‘완벽한 커피를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자’ 얼핏 간단하지만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아닐 수 없는데요?

유화정 PD: 그래서 누군가는 커피의 역사는 ‘단순화의 역사’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 핸드드립 기구, 그라인더, 에어로프레스 등 셀 수 없이 많은 다양한 커피 기기들의 목표는 단 하나, 어떻게 하면 맛있는 커피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을까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인데요.

캡슐커피는 그 질문에 해답을 내놓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에스프레소 머신 없이도 쉽고 편리하게 에스프레소를 즐길 수 있습니다.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해 커피 원두를 갈고 꾹꾹 눌러 담는 과정 등의 수고로움을 버튼 하나로 단순화해 단 몇 초 만에 ‘완벽한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된 것이죠.

진행자: 가정용 에스프레소는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이 상당히 복잡하더라고요. 커피에 진심인 애호가들은 모르겠지만요.  그저 버튼 하나만 눌러주면 취향대로 완벽한 커피를 즐길 수 있다 보니 캡슐커피의 수요가 점점 확산 추세인데, 그런데 여기에 환경문제가 브레이크를 걸었죠?

유화정 PD: 지금까지는 거대 규모의 커피 소비량이 쓰레기 문제를 양산하면서 커피를 마시기 위한 플라스틱 일회용 컵과 빨대가 주요 환경 오염원으로 지목 돼왔습니다.

이와 관련해 호주 학술 매체 ‘더 컨버세이션’은 플라스틱 빨대가 종이 빨대로 대체되는 등 환경 관련 대책도 꾸준히 확대되고 있지만, 커피가 남기는 일회용 플라스틱만이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는데요.

최근 몇 년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로 홈 카페가 큰 인기를 끌면서, 집에서 커피를 내려 마실 때 사용되는 ‘커피 캡슐’이 탄소 주범이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 겁니다.
진행자:  회사나 집에서 캡슐커피를 즐기면서 다들 한 번쯤은 고민해 보셨을 법한데요. 커피 내리고 나면 구멍 뚤린 캡슐 용기는 그대로 쓰레기 통으로 버려지죠. 환경오염의 치명적 요인이 캡슐용기의 재질 때문인가요?

유화정 PD: 꼭 그렇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 한국소비자원이 주요 21개 캡슐커피 제품의 용기 재질을 확인한 결과 4개 제품은 알루미늄, 17개 제품은 플라스틱이 주된 재질로 이뤄져 사실상 대부분 재활용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캡슐커피 용기를 분리배출하기 위해서는 리드(뚜껑) 부분을 분리하고 본체 내부에 남아있는 커피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데, 밀봉된 용기의 구조적 특성상 분리과정이 쉽지 않아 사실상 재활용을 위한 분리배출이 어렵습니다.

현재 미국, 유럽 등 해외에서는 네스프레소, 네스카페, 일리 등 몇몇 브랜드는 캡슐 회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LISTEN TO
korean_260922_culture_marineinnovation image

컬처 IN: 한국, 세계 최초 버려지는 해초 부산물로 친환경 용기 개발

SBS Korean

12:37
진행자: 전 세계에서 1년간 배출되고 그대로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는 캡슐용기의 양은  대략 어느 정도일까요?

유화정 PD: 전 세계에서 1분마다 2만 9000개의 캡슐용기가 매립되고 있습니다. 1년간 배출되는 캡슐커피 용기를 산처럼 쌓으면 그 높이가 약 59만 킬로미터(580,973km)가 되고, 이 거리는 무려 지구와 달 사이 거리(380,000km)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입니다.

문제는 이 많은 캡슐이 일반쓰레기로 버려지면 캡슐 소재인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은 그대로 소각되거나 매립된다는 점인데요.

영국의 친환경포장재업체 ‘패키징온라인’이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캡슐 커피 용기 자연 분해에 걸리는 시간은 무려 500년입니다.

진행자: 기존의 캡슐커피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캡슐 개발도 활발히 이뤄지는 모습인데, 볼 모양의 새로운 형태의 커피캡슐이 등장해 화제가 되고 있죠?

유화정 PD: 스위스 회사 머신 ‘커피 B’가 개발한 동그란 형태의 볼 모양의 캡슐은 해조류를 이용해 만들어진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커피가 추출되는 동안 용해되지 않고 분쇄된 커피 입자들 사이에 남아 커피 찌꺼기의 일부가 됩니다. 기존 커피 찌꺼기처럼 퇴비로 사용할 수 있고, 흙에서 완전히 퇴비화된다는 것이 업체의 설명입니다.

유럽의 바이오 신소재 기업 코다그룹은 농업용 폐기물로 만든 친환경 캡슐커피를 선보였습니다. 또 캐나다 스타트업 ‘넥스이노베이션’은 지난해 퇴비로 활용이 가능한 커피캡슐을 선보였는데,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만들어진 이 캡슐은 35일 만에 완전 퇴비화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진행자: 간편한 캡슐커피 사용량이 늘어나는 만큼 환경오염의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대응 방안 강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컬처 IN에서 살펴봤습니다.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