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내용은 중급에서 상급 이상 학습자에게 적합합니다. 먼저 팟캐스트를 들으신 후 간단한 퀴즈를 풀어보세요.
학습 노트
이번 주 학습 목표:
유연 근무방식 요청하기
유연 근무를 요청하는 여러가지 표현:
- I would like to work more flexibly. (좀 더 유연하게 근무하고 싶습니다)
- Flexible work allows me to have a good work-life balance. (유연 근무방식은 업무와 일상의 균형을 잘 잡게 해줍니다)
- I prefer hybrid work. (저는 하이브리드 업무 방식을 선호합니다)
- It cuts down on my commute. (출퇴근 시간을 줄여줍니다)
- Let’s play it by ear and revisit this arrangement. (상황을 보면서 처리하면서 이 방식을 재검토해 봅시다)
재택 근무에 대해 말하는 여러가지 표현:
- My work life has been bleeding into my home life. (회사 업무가 내 가정 생활을 침범하고 있어요)
- I feel like I’m working 24/7. (하루 종일 24시간 일하는 기분이예요)
- I have a hard time clocking off work. (업무를 끝내기가 어려워요)
- I’ve been more productive. (생산성이 높아졌어요)
- I have a lot on my plate but, working from home allows me to manage my life better. (해야 할 일은 너무 많지만 재택근무는 내 생활을 더 잘 관리할 수 있게 해줘요)
구어적 표현:
To rock the boat: 상황을 방해하다. I don’t want to rock the boat by changing our current workflow. (우리의 현 업무 흐름을 바꿔서 방해하고 싶지 않아요)
To have a lot on your plate: 책임져야 할 것들이 많다. She has three ongoing projects right now. She has a lot on her plate. (그녀는 현재 세 개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해야 할 일이 많다)
To play it by ear: 상황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다. I’ll have to play it by ear if I can go to the picnic tomorrow. (내일 피크닉에 갈 수 있을지 상황보고 결정해야 할 거야)
To bleed into: 어떤 것에 서서히 퍼지다. My personal life is bleeding into my work life. (내 사생활이 회사 업무에 점점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To clock off: 업무를 끝내거나 퇴근하다. I’ve clocked off for the day. (오늘 업무를 끝냈어요)
To slack off: 노력을 덜 하다. I’ve been slacking off in the gym lately. (나는 요즘 체육관에서 게으름을 피우고 있어요)
24/7: 24시간 또는 일주일 내내 하루 종일. The convenience store is open 24/7. (그 편의점은 24시간 문 열어요)
어휘:
-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or flexible work) – 유연근무제: 고용주가 직원들이 아이 돌보기와 같은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근무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상황.
- Hybrid working arrangement (or hybrid work) – 하이브리드 근무제: 직원들이 회사에서 파트타임으로, 집이나 다른 장소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재택과 출근을 혼합한 근무 방식.
- Transition – 전환: 변화를 시행하는 것
- Cut down – 줄이다
- Work-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 개인 생활과 업무와의 조화
- Commute – 통근하다: 집과 회사를 정기적으로 출퇴근하는 것
- Downtime – 다운타임: 활동하거나 일하지 않는 시간
- Pros – 장점
- Cons – 단점
- Remuneration – 보수: 제공한 업무나 서비스에 대해 받는 돈
문화 관련 정보:
고용주는 이러한 요청을 반드시 고려하고 논의해야 하며, 주 보호자, 장애인 직원 및 55세 이상 고령자와 같은 특정 근로자에게 유연 근무를 합법적으로 제공하는 요청이 해당한다.
고용주는 주 보호자, 장애인 직원 및 55세 이상 고령자와 같은 특정 근로자에게 법적으로 탄력적인 근로 방식을 제공해야 한다.

Senior Businessman sitting on a log while reply E-mail or chatting on a laptop on vacation days at a waterfall. Remote Office Anywhere. Source: Moment RF
대본
(참고: 팟캐스트 내용을 1:1로 번역한 내용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은 지금 SBS Learn English 팟캐스트를 듣고 계십니다. 이 팟캐스트는 호주 인들과 이야기하고, 이해하며, 친숙해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제 이름은 요시파이고, 저도 여러분처럼 여전히 영어를 배우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는 고용주에게 유연 근무 방식에 대해 물어보는 방법과 재택근무에 대해 친구나 가족에게 말하는 방법을 연습하려고 합니다.
유연근무는 파트타임 근무와 캐주얼 근무, 근무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이 다르거나 재택근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뤄집니다. 물론, 여러분이 요청할 수 있는 유연 근무 형태는 여러분이 하는 일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겁니다.
하지만 유연 근무에 대해 고용주에게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
유연 근무 제도를 연장하고 싶어하는 직원인 메리앤과 그녀의 고용주 앨런 사이의 대화를 들어봅시다.
앨런:
안녕하세요 메리앤.
메리앤:
앨런, 오늘 저와 만나주셔서 감사합니다. 직원들이 풀타임 사무실 근무를 위해 복귀하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제가 계속해서 유연 근무를 할 수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저는 제가 재택근무를 할 때 그만큼 생산적이라는 것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앨런:
음, 알다시피 현재 업무 흐름이 갖춰진 상황에서 방해를 하고 싶지는 않지만 저는 메리앤이 좀 더 하이브리드 근무 방식으로 전환하기를 바래요. 다른 팀원들과 직접 만나 협업할 수 있도록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출근해 주셨으면 합니다.
메리앤:
그럼요, 일주일에 이틀은 할 수 있어요. 그것도 여전히 매주 통근 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고 일과 삶의 균형을 잘 맞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앨런:
그 말을 들으니 기쁘군요. 앞으로 3개월 정도 후에 이 근무 방식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다시 얘기해 볼 수 있습니다. 상황에 맞게 처리해서 기쁘네요.
메리앤과 앨런의 대화를 자세히 살펴봅시다.
먼저, 메리앤의 말을 들었죠.
I know that staff are returning to the office full time, but I’d like to ask if I could continue doing flexible work.
(직원들이 풀타임 사무실 근무를 위해 복귀하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제가 계속해서 유연 근무를 할 수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메리앤의 경우, 유연 근무를 한다는 것은 집에서 일하는 것을 의미했죠.
메리앤은 또 이렇게 말했습니다.
I believe I’ve shown that I am just as productive when I work at home.
(저는 제가 집에서 일할 때 그만큼 생산적이라는 것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메리앤은 자신이 집에서 일하는 동안에도 생산적이었다고 말합니다. 생산적이었다는 의미는 그녀가 기대만큼 또는 기대 이상으로 일을 잘 할 수 있었다는 뜻입니다.
생산적이라는 것은 유연 근무를 하기 위해 고용주를 설득할 수 있는 하나의 이유가 됩니다.
자신이 유연 근무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다른 이유로는 자신이 일에 더 만족하고, 스트레스를 덜 받고, 병가를 덜 냈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연 근무를 하기 시작한 이후로 학교에서 아이들을 데리고 오는데 서두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덜 받았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후 앨런이 말했죠.
I don’t want to rock the boat now that we have a workflow in place.
(현재 업무 흐름이 갖춰져 있는 상황에서 방해를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보트를 흔든다(rock the boat)는 뜻은 상황을 방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일과 관련이 없는 다른 상황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We’re now getting along so well that I don’t want to rock the boat by bringing up the past. (우리는 지금 너무 잘 지내고 있어서 나는 과거를 들먹여 방해를 하고 싶지 않아요)'
앨런은 또한 말했습니다.
I was hoping you could transition to more of a hybrid working arrangement.
(좀 더 하이브리드 근무 방식으로 전환해 주셨으면 해요)
전환(transition)은 변화를 겪는 것을 의미합니다.
변화가 발생하는 다른 상황에서도 ‘전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 transition from being single to being married was easy for him. (독신에서 결혼으로의 전환은 그에게 쉬웠어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앨런이 또 말했죠.
We would love you to come to the office at least twice a week so you can collaborate face-to-face with other team members.
(다른 팀원들과 직접 만나 협업할 수 있도록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출근해 주셨으면 합니다)
앨런은 메리앤이 집에서만 일하는 것보다 하이브리드 근무로 전환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근무제란 직원이 직장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고 집이나 다른 장소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재택과 출근이 혼용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얼굴을 맞대고 협업한다(collaborate face-to-face)는 것은 직접 만나 함께 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리앤은 이 방식에 동의하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That will still help me to cut down on my weekly commute.
(그것은 여전히 제가 매주 통근하는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줄인다(cut down)는 것은 줄인다는 뜻입니다.
출퇴근 시간을 줄인다는 것은 메리앤이 집에서 직장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리앤은 또한 말했습니다.
It would still give me a good work-life balance.
(그래도 여전히 일과 삶의 균형을 잘 맞춰줄 수 있을 거예요)
일과 삶의 균형은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습니다. 균형이 잘 잡힌다는 것은 직장 생활과 개인 생활 간에 조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앨런이 말했습니다.
We can revisit this arrangement in another three months or so. I'm happy to play it by ear.
(우리는 3개월 정도 후에 이 방식을 다시 논의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맞게 처리하게 돼서 기쁩니다)
귀로 듣고 행동하다(play it by ear)는 것은 상황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따라 유연하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play it by ear'라는 표현은 많은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I think it might rain tomorrow, so let’s play it by ear and see if we can go hiking. (내일 비가 올지도 모르니, 우리가 등산을 갈 수 있을지 상황을 봐서 결정하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메리앤과 앨런이 재택근무에 대해 이야기하는 친구 사이입니다. 친구 사이이기 때문에 그들의 대화는 이전 것보다 더 일상적인 표현들입니다. 들어보시죠.
메리앤:
나는 일주일에 두 번 사무실에 출근할 거야. 너무 기대가 돼. 재택근무를 시작한 이후로 업무가 가정생활에 서서히 파고들어서 쉬는 시간이 없었거든.
앨런:
무슨 말인지 알 것 같아. 재택근무를 할 때는 퇴근을 하는 것이 어렵지. 하지만 내 경험상으론 재택근무는 단점보다 장점이 더 많아. 할 일이 더 많긴 하지만 집에서 일하는 것은 내 삶을 더 잘 관리할 수 있게 해주거든.
메리앤:
맞아, 하지만 어려울 수도 있지. 집에서 게으름 피우는 시간이 더 많을 줄 알았는데, 오히려 하루 종일 일하는 기분이었어.
솔직히 말해서 재택근무에는 장단점이 있고, 메리앤과 앨런은 이에 대해 공개적으로 토론했습니다.
메리앤이 말했죠.
Ever since I started working from home, my work life has been bleeding into my home life.
(재택근무를 시작한 이후로 업무가 가정생활에 서서히 파고들었어)
재택근무는 메리앤의 업무 생활이 가정생활에 서서히 파고들게 만들었다.
어떤 것에 피가 난다는 것(bleed into something)은 그 안으로 서서히 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리앤으 또한 말했습니다.
I haven’t had any downtime.
(난 쉴 시간이 없었어)
다운타임은 일하지 않거나 활동적이지 않은 시간을 말합니다.
업무 생활이 가정생활에서 서서히 파고들었기 때문에 메리앤은 쉬는 시간이 없다고 느낀 것이죠. 메리앤은 쉴 틈이 없었던 것이네요.
앨런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It’s hard to clock off when you’re working from home.
(재택근무를 할 때는 퇴근을 하는 것이 어렵다)
퇴근하다(clock off)는 업무를 마감하거나 퇴근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앨런이 말했습니다.
I have a lot on my plate but, working from home allows me to manage my life better.
(할 일은 많지만 집에서 일하는 것은 내 삶을 더 잘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동시에 해야 할 많은 일이 있을 때 You have a lot on your plate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 ‘She’s a mum and a business owner, so she has a lot on her plate. (그녀는 엄마이자 사업가이기 때문에 할 일이 많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메리앤이 말했습니다.
True, but it can be challenging. I thought I’d have more time to slack off working from home, but it felt like I was working 24/7.
(맞아, 하지만 어려울 수도 있어. 집에서 게으름 피우는 시간이 더 많을 줄 알았는데, 하루 종일 일하는 기분이었어)
어떤 것이 도전적(challenging)이라는 것은 그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 Running is challenging for someone who doesn’t like exercising. (달리기는 운동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게으름을 피운다(slack off)는 것은 일과 같은 어떤 일을 할 때 노력을 덜 기울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리앤은 집에서 일하는 것이 게으름을 피우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 반대였던 것이죠! 메리앤은 자신이 24시간 일하는 것처럼 느껴졌다고 말했습니다.
24/7은 하루 24시간, 일주일 7일을 의미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24/7은 항상을 의미합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SBS 라디오의 기획 및 전달 책임자입니다. 파멜라 쿡 이사와 함께 유연 근무 방식에 대해 이야기해 봅니다.
안녕하세요 파멜라, 시간 내줘서 고맙습니다.
파멜라:
안녕하세요! 팟캐스트에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시파:
모든 직원이 유연 근무 방식을 요청할 수 있는 건가요?
파멜라:
누구나 고용주에게 탄력근로제 요청을 할 수 있지만, 호주에서는 일부 근로자들은 공정근로법에 따라 특정 상황에서 유연 근무를 요구할 수 있는 법적 권리가 있습니다.
최소 12개월 동안 해당 고용주를 위해 일해 왔어야 하고 다음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 취학 연령 이하의 아동의 부모 또는 보호자
- 또는 간병인이거나
- 또는 장애가 있거나
- 또는 55세 이상의 직원이거나
- 또는 가정폭력을 경험하거나 누군가를 돌보고 있는 사람
요시파:
그렇군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내용은 아닌 것 같습니다.
파멜라:
맞습니다. 제가 방금 말씀드린 상황에 있는 근로자라면 유연 근무를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 가지 옵션은 시범 기간(예: 3개월에서 6개월)을 정해서 그것이 직원과 고용주에게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평가를 수행하고 변경이 필요한 경우 계획을 다시 검토할 수 있습니다.
요시파:
네, 저는 처음에는 재택근무를 해보았지만 하이브리드 근무 방식이 더 잘 어울린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저는 제가 집에서 일하는 날과 사무실에서 일하는 날을 선택하기 위해 매니저와 함께 상의할 수 있다는 것이 좋습니다.
파멜라:
네. 그것이 확실히 유연 근무의 장점이죠. 여러분의 직업 만족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유연 근무는 스트레스와 부재를 줄여주고 사람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더 잘 잡을 수 있게 해줍니다.
요시파:
고맙습니다.
======
교육 컨설턴트인 린다 예이츠 교수님과 앨런과 오늘의 초대 손님 파멜라 쿡, 앨런과 마리앤 역할을 맡아주신 폴 니콜슨, 코니 라란제이라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