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구석 구석을 파고든 중식당, 인기의 비결은...?

호주 전역을 여행하다 보면 아무리 멀고 작은 시골 마을에서도 현지 중식당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These are the reasons why you don't have to go very far to get your fried rice fix. (Phaidon Press)

These are the reasons why you don't have to go very far to get your fried rice fix. Source: Phaidon Press

호주 현지에 있는 중식당은 단순히 맛있는 식사만 하는 식당이 아니다. 이민 역사 이야기와 외국인들과 그들의 음식을 수용 또는 거부하는 이야기 등 오랜 다문화 사회라는 상징성을 담고 있는 것이다.

’ 저자인 잰 오코넬 씨는 호주에서 상업적인 목적의 중국 식당의 출현은 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설명한다. 1850년대 초 호주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골드러쉬’가 일어나 채광지의 식당인 쿡하우스에 중국인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됐다.
Fried egg noodles are a familiar sight on Australian menus. (Alan Benson) Source: Alan Benson
Fried egg noodles are a familiar sight on Australian menus. (Alan Benson) Source: Alan Benson
오코넬 씨는 “중국인들이 시작한 쿡하우스는 광부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중국과 유럽인들의 입맛에 맞는 음식을 제공했다"라고 SBS에 말했다. 또 “골드 러쉬 기간 동안 빅토리아 주에는 많은 수의 쿡하우스가 생겼으며 퀸즐랜드와 서호주 골드 러쉬 기간에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라고 전했다.

중국 이민자들의 호주 이주는 1900년대에도 계속 이어졌으며, 새로 도착한 많은 중국인들은 요리사로 일을 시작했다.

그러나 백호주의 정책이 도입되자 반 중국인 정서가 사회 전반에 만연하면서 중국인들의 이민 러쉬는 단기적으로 제한되기에 이른다.

오코넬 씨는 “이 정책으로 인해 중국인들은 호주로 이주하기가 더 어려워졌다. 식당을 포함한 중국 문화 전체가 몇 년간 약간의 부진을 겪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역사학자 바바라 니콜 씨는 에서 중국 음식은 곧 '자유분방한 예술가(보헤미안)' 호주인들과 야식을 필요로 하는 노동자들에게 높이 평가되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니콜 씨는 “20 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도시의 신생 지식인 층인 예술가, 작가 등과 함께 대학과 대학 커뮤니티가 차이나타운으로 향했다”라고 분석했다.

“도시근로자, 현지 중국 기업의 공급업체, 병원에서 야간 교대 근무를 하는 간호사 및 의사들도 중국 식당에서 식사를 하거나 중국 음식을 포장해와서 먹기 시작했다. 그들은 밤에 거의 갈 곳 없던 멜버른 또는 시드니와 같은 도시에서 야간 손님을 환영하는 중국 식당의 분위기에 감사함을 느꼈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식당에서 제공되는 중국 음식은 대부분 광동식이다. 스테이크, 찹스, 빵 및 스튜 등 서양식 요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Salt and pepper silken tofu: a staple at your local Chinese restaurant. (Alan Benson) Source: Alan Benson
Salt and pepper silken tofu: a staple at your local Chinese restaurant. (Alan Benson) Source: Alan Benson
중식당 이용 장려 

중식당 이용 장려 분위기는 1930년대 호주 정부가 중국 식당 업계에서 중국인 임시 노동자를 들여올 수 있도록 법률을 변경하면서 시작됐다.

오코넬 씨는 “그때부터 완전히 새로운 중국 식당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면서 “1930년대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면서 중국인들에 대한 태도에 약간의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고, 중국인들에게는 일종의 동정론이 일었다."

제 2차 중일 전쟁(1937-1945)은 또한 많은 중국 선원과 난민들을 호주로 유입시켰다. 어떤 이들은 식당에서 일을 하고 또 다른 이들은 중국식 카페를 운영했다.

제 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에서 복무하던 사람들이 호주에 유입되면서 다양한 중국 요리와 더불어 중국 식당에 대한 수요가 더 많이 증가했다.

오코넬 씨는 “그러나 백호주의 정책이 개정된 1958 년과 1966 년까지는 아시아인들의 호주 이민은 전혀 장려되지 않았다. 중국인들이 영구적으로 이주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었다”라고 전했다.

오코넬 씨는 한편으로 호주 내 반 중국 커뮤니티 정서는 현지 중국 식당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생존을 유지하는 데 일조한 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호주에 사는 중국인들은 항상 자신의 문화와 요리의 전통을 유지해야했다. 아마도 1950 년대에서 60 년대까지는 중국인들 자신이 절대 호주 사회에 받아들여지거나 융합되지 않는다는 '거리감'을 느꼈을 것이고 그것이 중식당의 정체성을 유지시켜주는 원동력이 된 것”이라고 전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 중국 커뮤니티 정서는 또한 전국적으로 중국 식당을 확산시키고 지속성을 가중시켰다.

“1960년대 이후 호주가 중국 이민자를 더 많이 받아들이게 됐고 더 많은 호주인들이 식사를 하기위해 중국 식당에 간다는 인식을 갖게 되면서, 1970년대에 들어서는 다양한 종류의 중국 요리가 호주에 도입되기 시작했으며 고급 중식당들이 비중국인 고객을 유치하기 시작했다”

“현존하는 호주 내 중국 식당은 지난 100 년간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인종차별적 정부 정책 및 이민 정책 등 거친 파도를 거치며 살아남은 강한 기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인 토대는 호주의 현지 중식 레스토랑이 앞으로도 수십 년간 존재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Share
Published 8 March 2020 5:24pm
Updated 8 March 2020 6:54pm
By Yasmin Noone
Presented by Sophia Hong
Source: SBS Food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