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 주, ‘성희롱 특별 대책 위원회’ 설립… “직장인 여성 위한 안전한 일터 목표”

빅토리아 주정부가 직장 내 성희롱 문제에 대한 특별 대책 위원회를 설립한다.

Employers would be forced to disclose incidents of sexual harassment to workplace authorities under reforms flagged by the Victorian government.

Employers would be forced to disclose incidents of sexual harassment to workplace authorities under reforms flagged by the Victorian government. Source: Getty Images AsiaPac

Highlights
  • 빅토리아 주, 성희롱 특별 대책 위원회 설립
  • 개혁안에 따라 빅토리아주 고용주들이 근로 당국에 모든 성희롱 사건 공개해야 할 듯
  • 제임스 멀리노 주총리 대행 “누구도 성희롱의 무례함, 굴욕, 협박을 받아서는 안된다”
빅토리아 주정부가 기치를 든 개혁안에 따라 빅토리아주의 고용주들이 향후 근로 당국에 성희롱 사건을 공개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제임스 멀리노 빅토리아 주총리 권한 대행은 “이것은 여성들을 위한 보다 안전한 직장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대책 위원회가 살펴보게 될 중요한 변화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멀리노 대행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이는 고용주가 직장에서 발생하는 그 어떤 성희롱 사건도 워크세이프(WorkSafe)에 보고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누구도 성희롱의 무례함, 굴욕, 협박을 받아서는 안된다. 그 누구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브론윈 하프테니 하원 의원과 근로법 전문 변호사 리버티 생어 씨가 공동 위원장을 맡게 되며 대책 위원회는 연말까지 정부에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보고서에는 성희롱 신고 의무화의 문턱과 집행 방법 등이 담길 예정이다.

대책위는 또한 성희롱 예방과 대응을 더욱 잘 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피해 신고자가 앞으로 나설 경우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방안도 모색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빅토리아 주정부는 대책 위원회가 범죄 혐의에 대한 경찰의 수사를 가로채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이번 개혁 내용이 의회까지 확대되냐는 질문을 받은 잉그리드 스티트 근로 안전 장관은 행동 강령을 통해 의원들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스티드 장관은 “일하는 장소와 상관없이 모든 근로자는 성희롱이나 기타 다른 형태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게 일할 자격이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2018년 호주인권위원회의 조사에서는 직장인 3명 중 1명이 지난 5년간 직장에서 성희롱을 경험했다고 보고했다.
만약 여러분이나 여러분이 아는 누군가가 성폭행, 가정 폭력, 가족 폭력의 영향을 받고 있다면 1800 737 732 (1800RESPECT)로 전화하거나 를 방문해 주세요. 긴급한 경우에는 000으로 전화하세요.

도움을 바라는 사람은 라이프라인 위기 지원 전화 13 11 14, 혹은 자살 상담 서비스 1300 659 467, 혹은 키즈 헬프라인 1800 55 1800(5세에서 25세까지 이용 가능)에 연락하세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혹은 에서 확인하세요.

 


Share
Published 8 March 2021 4:45pm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ource: AAP, SB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