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Source: Getty image
호주의 선호 투표제(Preferential voting)는 유권자가 단 한 명의 후보에게만 투표를 하는 것이 아니라 출마한 후보 전원에게 지지하는 순서대로 순위를 매겨 투표하는 제도입니다. 하원 투표용지는 연한 녹색, 상원 투표용지는 흰색입니다. 오늘은 하원 선출 방식을 살펴봅니다.
가장 선호하는 후보에게 1번을 적고 이후 선호하는 후보 순서대로 계속 번호를 매깁니다.
1차 집계에서 1위 기표수가 과반수를 얻었다면 이 후보는 당선자로 확정됩니다.
예를 들어서 총 10만 명이 투표에 참여했다면 과반수는 50,001표 이상이 됩니다.
- 피터 후보는 1순위 33,000표를 받았습니다.
- 제인 후보는 1순위 27,000표를 받았습니다.
- 레이첼 후보는 1순위 26,000표를 받았습니다.
- 폴 후보는 1순위 14,000표를 받았습니다.
후보 중 누구도 50,001표 이상을 못 받았다면 1차 집계에서 당선자는 없습니다. 이 경우 가장 적은 표를 받은 후보가 가장 먼저 탈락하게 됩니다.
2차 집계
이 경우 가장 적은 1순위 표를 받은 후보는 14,000표를 받은 폴입니다.
탈락한 폴이 받았던 1순위 14,000표는 2순위로 적힌 나머지 후보들에게 나눠집니다.
- 폴로부터 피터가 받은 2순위 표는 3,000표이며, 합산하면 36,000표가 됩니다.
- 폴로부터 제인이 받은 2순위 표는 5,000표이며, 합산하면 32,000표가 됩니다.
- 폴로부터 레이첼이 받은 2순위 표는 6,000표이며. 합산하면 32,000표가 됩니다.
하지만 아직도 과반수(50,001표)를 얻은 후보가 없네요.
또 1명의 후보가 탈락해야 합니다.
제인과 레이첼 모두 32,000표를 확보했는데요. 이 경우에는 1차 집계에서 더 적은 표를 받은 후보가 탈락하게 됩니다.
결국 레이첼이 탈락하게 됐네요. 레이첼이 받은 다음 순위 표들이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 다시 나눠집니다.
3차 집계
- 피터는 레이첼로부터 13,000표를 가져왔고 합산해서 49,000표가 됐습니다.
- 제인은 레이첼로부터 19,000표를 가져왔고 합산해서 51,000표를 얻었네요.
결국 과반수의 표를 받은 제인이 당선됐습니다.
제인은 1차 집계 당시에는 가장 많은 1순위 표를 받지 못했지만 최종 결과에서는 과반수의 표를 얻어 당선에 성공했습니다.
호주의 선호 투표제는 개표 과정이 복잡해 최종 당선자를 가리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자신이 지지한 1순위 후보가 당선되지 않더라도 유권자의 표가 사표(死票)가 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