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s
- 장애인 서비스 근로자 대상 전국 단위 조사 30일 공개
- 장애인 서비스 부문 근로자 50% ‘백신 불신’
- 호주 장애 서비스 대표 기구인 ‘전국장애서비스’, 장애인 서비스 부문 최일선 종사자 백신 접종 의무화 촉구
- 퀸즐랜드주 외 모든 주와 테러토리, 특정 업종 직원들에게 백신 접종을 강제할 수 있는 법이나 공중보건 명령 無
호주의 장애인 서비스 대표 기구가 장애인 지원 서비스 부문의 최일선 종사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의무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장애인 서비스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전국 단위의 조사가 30일 공개된 가운데 응답자의 50%는 백신을 접종받지 않기로 결정했거나 그 결정을 유보하길 바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자의 5명 중 1명은 코로나19 백신을 결코 받지 않겠다고 답했다.
장애인 거주 돌봄 시설 입주자들과 직원들은 호주의 코로나19 백신접종 프로그램 1A단계 하에서 우선 접종 대상이다. 한편 자택 돌봄이나 지역사회 돌봄을 제공하는 근로자들은 1B단계에 속해 있다.
멜버른 대학의 ‘장애 및 보건에 대한 리서치 센터(Centre of Research Excellence in Disability and Health)’가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는 또 장애인 서비스 부문의 근로자 58%는 코로나 팬데믹을 종식하는 최선의 방법은 백신이라는 데 동의했다.
한편 54%는 백신을 접종받을 경우 그들이 돌보는 장애인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이 낮아진다는 것을 인정했다.
이번 조사는 혈전 생성 우려로 50세 미만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지 말 것이 권고되기 전에 시행됐다.
이번 조사를 이끈 앤 카바나흐 박사는 장애인의 경우 코로나19 감염 위험성이 높을 수 있고 감염될 경우 중증도가 높아질 수 있어 매우 우려되는 조사 결과라고 말했다.
이처럼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신뢰가 저조하게 나타나자 국내 장애 서비스 제공 대표 기구인 전국장애서비스(National Disability Services)는 의학적 이유가 아닌 한 장애인 서비스 부문 최일선 종사자에 대한 백신 접종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국장애서비스의 데이비드 무디 CEO는 장애인과 이 부문의 근로자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백신 접종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장애인들이 백신을 접종받은 직원으로부터 돌봄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장애인 서비스 제공업체의 고용주들 역시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대부분의 주와 테러토리에서는 특정 업종의 고용주가 직원들에게 백신 접종을 강제할 수 있는 법이나 공중보건 명령은 없는 상태다.
퀸즐랜드주만 예외로 코로나19 환자를 대하는 최일선 보건종사자들은 백신 접종을 받아야 한다는 공중보건 명령이 있다.
연방정부도 현재까지는 백신 접종 의무화를 꺼리고 있다. 하지만 향후 특정 상황에서는 백신 접종이 의무화될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긴 상태다.
호주 생활의 최신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여러분의 손안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 SBS Radio 앱을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