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진단 10년 전 위험 예고하는 ‘단백질 발견’

과학자들이 치매 발병 위험을 진단 10년 전에 예측할 수 있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People walking on the street in Sydney's CBD

A blood test that looks for changes in certain proteins could predict dementia up to 10 years before diagnosis, research suggests. Source: AAP / Brendan Esposito

Key Points
  • 치매 발병 위험을 진단 10년 전에 예측할 수 있는 혈장 단백질 발견
  • 신경아교 원섬유성 산성단백질(GFAP)’, ‘미세신경섬유경쇄(NEFL)’, ‘성장분화인자15(GDF15)’, ‘잠복 형질 전환 성장 인자 베타 결합 단백질2(LTBP2)’ 등 4개 단백질 치매에 걸릴 가능성과 관련 깊어
영국과 중국의 연구진들이 치매 발병 위험을 진단 10년 전에 예측할 수 있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혈액 검사를 통해서 치매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환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찾아왔으며, 연구 중 발견한 내용을 최근 네이처 에이징 저널(journal of Nature Aging)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된 돌파구가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치매에 걸릴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사람의 몸 안에 있는 특정 단밸질의 높은 수준을 감지하는 뇌스캔(brain scans) 뿐이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특히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세인트 루이스에 있는 워싱턴 대학교의 알츠하이머 연구원인 수잔 쉰들러 박사는 이번 돌파구가 많은 사람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10년 동안 치매에 걸릴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혈액 검사가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예측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 참여한 상하이 대학교의 지안펑펑은 이번 연구 결과가 중국처럼 노령 인구가 많은 나라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월윅 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와 푸단대학교(Fudan University) 연구팀은 2006년에서 2010년 사이에 치매에 걸릴 징후가 보이지 않는 일반인들의 혈액 샘플 5만 2,645개를 모았다. 이중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은 1417명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단백질 특징을 연구해 치매와 관련된 1463개의 단백질을 찾아냈고 치매 예측 가능성에 따라 이들의 순위를 매겼다.

연구팀은 ‘신경아교 원섬유성 산성단백질(GFAP)’, ‘미세신경섬유경쇄(NEFL)’, ‘성장분화인자15(GDF15)’, ‘잠복 형질 전환 성장 인자 베타 결합 단백질2(LTBP2)’ 등 4개의 단백질이 치매에 걸릴 가능성과 연관이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신경아교 원섬유성 산성단백질(GFAP) 수치가 높은 사람은 치매에 걸릴 확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2.32배나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가운데 이번 연구의 저자들은 이 연구가 앞으로 독립적인 검증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Share
Published 13 February 2024 2:34pm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ource: Reuter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