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중국, 올림픽 개막식 최종 성화주자에 위구르족…IOC “지지”

중국이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성화봉송 최종 주자로 서방의 인권 공세가 집중된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출신 선수를 내세운 것에 대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출신지가 고려된 선정이 아니었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Dinigeer Yilamujiang and Zhao Jiawen hold the torch during the Winter Olympics opening ceremony.

Source: AAP

중국이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성화봉송 최종 주자로 서방의 인권 공세가 집중된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출신 선수를 내세운 것이 "정치적 의도이다"라는 서방 언론의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스키 크로스컨트리 선수인 디니거 이라무장(21·여)은  2019년 3월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대회에 출전, 중국 선수로는 처음 국제스키연맹(FIS) 주최 크로스컨트리 경기에서 메달(은메달)을 딴 유망주다.

스키 노르딕 복합 종목에서 올림픽에 출전하는 첫 중국 선수로 등록된 동갑내기 남자 선수 자오자원과 함께 4일 개회식에서 성화 최종주자로 나섰던 것.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이라무장은 신장위구르자치구 아러타이(阿勒泰)시 출신의 위구르족이다.

이에 대해 IOC는 "두 선수의 출신지가 최종 성화주자로 선정되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문을 내놨다.
IOC측은 "화합을 위한 조치였고 아주 적절했다"는 반응을 보였다. 

탄자니아 주재 중국 총영사관의 장 진솅 총영사는 "한족을 비롯 과 중국 소수민족 대표들을 성화주자에 두루 포함시킨 것은 인류 화합 차원의 상징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최종 주자는 '링링허우(零零後·중국의 2000년 이후 출생자)'로서 그동안 중국의 '불모지'였던 크로스컨트리 종목에서 활약하는 선수라는 점은 이번 대회 슬로건인 '함께 미래로'와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회 주최측이 무명에 가까운 이라무장에게 최종 주자의 영예를 안긴 데는 그가 신장 출신이라는 사실이 고려 요인의 하나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는 것이 서방 언론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신장 위구르족 인권 문제는 홍콩, 대만 문제와 함께, 미국을 위시한 서방과 중국이 대치하고 있는 '최전선'으로 꼽힌다.

미국이 이번 대회에 정부 고위 인사를 파견하지 않는 '외교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이유로 든 것도 신장 인권 문제였다.

작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신장 인권 문제를 이유로 신장 제품의 수입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하면서 미중간에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미국 등 서방은 신장 위구르족 강제 노동 및 강제 재교육 시설 운용 의혹을 제기하고, 중국은 이를 반박하면서 양측의 입장은 평행선을 달려왔다.

이 같은 배경을 감안할 때 중국 측은 위구르족 선수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춤으로써 신장 인권을 명분으로 한 미국, 영국 등 서방 일부 국가들의 올림픽 외교 보이콧에 맞대응한 것일 수 있어 보인다.


Share
Published 6 February 2022 9:04am
Presented by Yang J. Joo
Source: AAP, SB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