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S:
- 호주인 평균 자산은 현재 55만 3,954달러
- 가계 자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주택 대출 및 기타 신용 대출 수요는 급증
국내외 투자 수익 감소로 연금(수퍼) 잔액이 타격을 입으며 호주의 가계 자산(Household wealth)이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6월 분기의 호주인 평균 가계 자산은 55만 3,954달러로, 3월 분기의 57만 4,807달러에 비해 3.3% 하락했다.
호주 통계청에 따르면 호주인의 총 가계 자산은 3개월 만에 4,840억 달러 감소했다.
여전히 치솟는 주택 대출 수요
캐서린 키넌 호주 통계청 재무 투자 국장은 목요일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분기별 가계 자산이 감소한 것”이라며 “생활비 압박 증가 및 금리 인상과 맞물려 있다”고 설명했다.
키넌 국장은 투자 수익 감소로 연금(수퍼) 수익률이 떨어져 연금 저축액이 1.7% 감소했고, 주택 가격 역시 1.1% 하락해 가계 자산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가계 자산 하락에도 불구하고 주택 대출및 다른 형태의 신용 대출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넌 국장은 “주택 소유주와 투자자 대출 모두 부동산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활동을 바탕으로 가계 신용 대출 수요가 사상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7%를 기록했던 7월 기준 연간 물가 상승률이 8월 들어 6.8%로 소폭 하락했다고 통계청은 발표했다.
예산안 발표 앞둔 연방 정부
통계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주택 건설 가격은 전년 대비 20.7%, 휘발유 가격은 전년 대비 15% 상승했다. 또한 식품과 음료(주류 제외) 가격은 연간 9.3% 상승했다.
하지만 8월 기준 휘발유 가격은 지난 7월에 비해서는 떨어진 것으로, 이를 통해 8월 물가 상승률이 소폭 하락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9월 말 일시적인 유류세 감면 조치가 해제됐기 때문에 휘발유 가격이 다시 상승할 수 있으며 이경우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연방 예산안 발표를 앞두고 있는 짐 찰머스 재무 장관은 “호주인들이 힘겨운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며, “ 4주 안에 발표할 예산안에는 인플레이션과 금리에 추가적인 압박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호주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생활비 구제 조치가 담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PMG의 브랜던 린 수석 경제학자는 휘발유, 과일, 채소 가격 등 변동 가능성이 큰 항목이 빠진 ‘코어 인플레이션(core inflation)’이 8월 들어 6.1%를 기록한 점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경제학자: 추가 금리 인상 예측
린 경제학자는 이 같은 인플레이션 수치는 호주중앙은행이 목표로 삼고 있는 2%에서 3%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라고 지적했다.
“오늘 발표된 월간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보면 다음 주 회의에서 호주중앙은행 이사회가 기준 금리를 추가로 0.5% 인상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채권 선물 시장은 이미 그 가능성을 95% 확률로 보고 가격을 책정하고 있다”고 린 경제학자는 덧붙였다.
한편 마이클 오닐 호주노조협의회 위원장(ACTU)은 임금이 치솟는 생활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닐 위원장은 현재의 협상 시스템은 의미 있는 임금 인상을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낮은 실업률과 생산성 향상을 보이고 있다. 임원들은 기록적인 보너스를 받고 엄청난 기업 이익을 보고 있지만 임금 상승은 없으며, 교섭을 통한 임금 상승이 대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여전히 많은 ‘일자리 결원’
급속히 증가하던 ‘일자리 결원(Job vacancies)’ 수는 최근 들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일자리 결원율는 2.1% 하락했다.
하지만 이 같은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결원율 수준은 팬데믹 이전에 비해 여전히 두 배 이상 높은 상황이다.
여러 가지 경제 역풍에도 기업 활동은 탄력성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와 악천후 위기가 지난 이후 신규 주문이 쇄도하면서 지난 분기 제조업 활동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웨스트팩과 호주상공회의소가 실시한 분기별 산업 동향조사에서는 “노동력과 자재 부족이 해당 부문에 비용을 상승시키고 향후 분기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