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속에 맞이한 두 번째 크리스마스는 오미크론 변이로 더욱 고요한 분위기다.
오미크론의 기습을 막기 위해 예배당은 행사를 취소하거나 축소하고, 여행을 계획하던 사람도, 멀리 떨어진 가족을 만나려던 사람도 일정을 미루게 됐다.
항공편 추적 사이트(Flightaware.com) 자료에 따르면 이날 현재 전세계에서 취소된 항공편이 2천300편에 달한다고 전했다.
호주 국내적으로도 국내선 항공편이 24일 저녁에만 수십편이 급작스럽게 취소되는 소동이 빚어졌다.
아기 예수가 태어난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의 베들레헴에는 드럼·백파이프 연주자 등으로 꾸려진 크리스마스 퍼레이드 행사가 소규모로 진행됐다.
이날 베들레헴의 명소 구유 광장(Manger Square)에는 수백 명 정도가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만끽했다.
그나마 1년 전보다는 들뜬 분위기다. 작년에는 퍼레이드가 텅 빈 거리를 통과해야 했다. 팬데믹 전에는 전세계에서 순례자 수천 명이 몰려와 이 거리를 가득 채웠었다.
독일 쾰른의 쾰른대성당에는 성당을 둘러싸는 긴 줄이 형성됐다. 성탄 전야 미사 입장 대기 줄이 아니라, 근처 백신 접종소 대기 줄이다.
오미크론 변이가 이미 우세종이 된 미국 뉴욕에서도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는 사람들이 장사진을 쳤다. 대다수는 오랜만에 가족을 만나려고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확인하려는 이들이다.
영국 런던 동부의 한 교회에서는 크리스마스 예배를 진행하지만, 해마다 빼먹지 않던 '성탄 연극'은 하지 않기로 했다.

Latin Patriarch of Jerusalem Archbishop Pierbattista Pizzaballa arrives for mass to be held at Church of the Nativity, where Jesus is believed to have been born Source: Getty
미국에서도 대면 종교행사 상당수가 취소됐다. 워싱턴 국립대성당, 보스턴 올드사우스 교회 등 유서 깊은 대규모 교회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탈리아 로마에서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직접 성탄 전야 미사를 집전하고 성탄을 축하했다.
교황은 마스크를 쓰지 않았지만, 성당의 교인은 모두 마스크를 착용했다.
성 베드로 대성전은 최대 2만 명을 수용할 수 있지만, 이날은 입장객 수가 2천 명으로 엄격하게 제한됐다. 그나마도 입장객이 200명이었던 1년 전보다는 기준이 대폭 완화됐다. 교황은 "인생의 작은 일에도 감사하라"고 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성당도 1천200명을 수용할 수 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를 철저히 적용하면서 입장 교인 수가 137명으로 제한됐다. 예약한 사람만 방문이 가능했다. 성가를 부르려면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했다.
네덜란드는 강력한 봉쇄 조치 속에 성탄을 보내고 있다. 식당, 주점 등 '비필수 업종'으로 분류된 상점은 모두 문을 닫았다. 다른 사람의 가정 방문 인원은 2명으로 제한된다. 그나마 크리스마스 당일엔 4명까지 방문이 가능하다.

President Joe Biden and first lady Dr Jill Biden participate in an event to call NORAD and track the path of Santa Claus on Christmas Eve. Source: Getty
미국 영부인이 크리스마스 시즌에 국립어린이병원을 찾는 건 해리 트루먼 전 대통령 시절부터 시작된 오랜 전통이다.
그러나 현직 대통령이 함께 방문한 건 처음이라고 백악관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