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슨 정부가 100만 명에 달하는 고용주들을 위해 근로자의 조건 변경에 대한 권한을 연장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려 하고 있다.
비상 코로나바이러스 권한에 따라 현재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JobKeeper)’을 사용하는 96만 개의 사업체들은 직원들의 근무 시간, 업무, 근무지 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조쉬 프라이든버그 연방 재무 장관은 기업들이 더 이상 해당 보조금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이 협정을 영구적으로 이어가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가장 먼저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JobKeeper)’이 연장되는 내년 3월까지 해당 권한을 보장하는 법안을 통과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해 노동당은 격렬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야당의 산업 관계 대변인을 맡고 있는 토니 버크 의원은 정부가 팬데믹 기간 동안 노동자들의 권리에 공격을 가하기 시작했다고 맹비난했다.
그는 “조시 프라이든버그가 고용 안정성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을 테이블 위에 올려놨다”라며 “우리는 팬데믹 기간 동안 고용 안정성을 공격하는 일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프라이든버그 장관은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에 대한 정부의 기업 설문 조사 내용을 인용하며 4곳 중 3곳이 이 같은 조항을 활용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서 80%가 이 조치의 연장을 지지한다고 말했고, 거의 모든 응답자들은 사업을 계속 운영해 나가기 위해 이 약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호주산업그룹(Australian Industry Group)의 이네스 윌록스 최고 경영자는 기업들이 임금 지원금에 접근하지 못하게 되면 그 어느 때보다도 이 조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들이 더 이상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을 받을 자격이 없다는 것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윌록스 최고 경영자는 9월에서 내년 3월 사이에 지원금이 줄어드는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을 살려나가기 위해서는 비상 권한이 유지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또한 제니퍼 웨스타코트 경영위원회(Business Council) 대표는 기업들에게 회복하고 융통성을 가지고 운영될 수 있는 최고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이는 불안정한 업무만 가져다줄 뿐이라고 지적했다.
멜버른 광역권에 거주하는 사람은 ‘자택 머물기’ 명령을 지켜야 합니다. 음식이나 생필품 구입, 일, 공부, 운동, 돌봄을 위해서만 집을 나설 수 있습니다. 멜버른 주민에게는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을 권고합니다.
호주에서는 다른 사람과 적어도 1.5미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사는 주와 테러토리의 조치와 모임 인원 규정을 확인하세요.
감기나 독감 등의 증상이 있다면 집에 머물거나 의사 혹은 ‘코로나바이러스 건강 정보’ 핫라인 1800 020 080으로 연락해 검사를 받으세요.